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정혜원 사회부 기자
정혜원 사회부 기자

지방대학이 속속 몰락하고 있다. 
 
저출산과 더불어 수도권 대학 선호도 현상이 맞물리면서 올해 지방대는 역대 최대규모의 '신입생 모시기'에 나섰다. 
 
한국대학교육협의회에 따르면 올해 전국 162개 대학에서 2만 6,129명의 신입생 추가모집을 진행했다.
 

지난 2005학년도 3만 2,540명 이후 16년 만에 최대치를 찍었다. 지난해 추가모집 인원인 9,830명과 비교하면 1년 만에 2.7배나 늘었다. 이 가운데 서울, 경기, 인천을 제외한 비수도권 대학이 2만 3,889명으로 전체의 91.4%에 달했다
 

지역거점대학인 울산대학교도 올해 정원을 충원하지 못했다. 정원 2,791명에서 87명이 미충원됐다. 지난해에는 99,5%로 15명이 미충원됐었지만, 그때와 지금의 사정은 다르다. 
 

당시에는 입학 등록완료 후 학업을 포기하는 학생들이 대부분이었지만, 올해는 추가모집으로도 합격시킬 인원이 부족한 실정이다.
 
울산대의 올해 정시 경쟁률이 2.29대 1이었다. 학생 1인당 정시 원서를 쓸 수 있는 학교는 3곳이다. 최소한 경쟁률이 3대 1은 돼야 합격한 학생이 다른 대학을 선택했을 때, 미달 인원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는데 그마저도 안됐던 상황이었다.
 
지방대학 관계자는 지역사회 경쟁률 제고를 위해서라도 지역의 거점대학이 버텨줘야 하며, 이를 위해선 지자체와 정부의 긴밀한 지원책이 강구돼야 한다고 한다. 특히 교육전문가들은 지방대 고사를 막기 위해선 정부재정지원을 전제로 전체 대학 정원을 감축해야 하고, 대학퇴출에 앞서 위기대학들의 종합적인 관리가 있어야 한다고 보고 있다. 
 
역대 정부가 정원감축을 추진했지만, 구조적으로 불리할 수밖에 없는 지방대가 주로 감축을 해왔기 때문에 전체 일률적으로 정원 감축이 선행돼야 한다고 본 것이다. 이를 위해 전체대학 정원감축은 명문대를 비롯 수도권 대학을 포함해 전체 정원을 감소하고, 대학들이 재정 수입 감소로 이어지지 않도록 재정 지원을 확대하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지방대학의 몰락은 지역 인재 유출과 더불어 지역 경제 파탄에도 지대한 영향을 끼치게 된다. 필시 수도권에만 좋은 인프라가 몰리게 될 것이다. 경쟁력 있는 지방대가 살아남을 수 있도록 정부의 적절한 조치가 필요한 시점이다.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