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도심 악취 문제는 울산의 숙원처럼 치부되고 있다. 집단 민원이 일상화되고 있음에도 아직 원인조차 잡아내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시민의 삶의 질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일이기에 환경 친화 도시를 자부하는 울산시로서는 부끄러운 일이다.
 
그동안 환경오염에 대한 인식이 많이 개선되면서 공장에서 내뿜는 공해도 현저히 줄어든 건 맞다. 그러나 공해와 달리 악취만큼은 사라지지 않고 간간이 시민들을 괴롭히고 있다. 울산 지역은 국가산업단지 내에 대규모 정유, 석유화학공장 등 다양한 악취배출사업장이 밀집되어 있어 시민에게 악취 피해를 줄 우려가 더욱 크다. 게다가 시민들은 악취에 대해서는 매우 민감하게 반응한다. 공업화 과정에서 무분별하게 뿜어댄 공해로 오랫동안 시달려 온 탓이다. 울산시와 관련 기관, 공단 등에서 이러한 심각성을 인지하고 악취 근절을 위해 지속해서 노력해왔다. 그럼에도 악취가 여전히 사라지지 않고 있다는 게 문제다. 
 
올해도 울산시는 취약시기인 하절기에 맞춰 '악취방지 종합대책'을 수립하고 선제 대응에 나선다고 밝혔다. 구·군과 함께 4월부터 10월까지 환경감시 종합상황실을 설치해 악취 민원에 적극 대응하고 악취 배출 사업장을 전수조사해 각 사업장별 악취 종류 및 특성을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악취 중점관리사업장과 상습감지 지역 주변 사업장을 대상으로 유관기관 합동단속 등 지도·점검을 강화한다는 것이다. 일벌백계의 자세로 엄중 조치한다는 각오를 다지는 모양새다.
 
또한 악취 측정 및 모니터링 장비를 강화하기 위해 1억 6,500만원의 예산으로 악취모니터링시스템 3개소, 악취시료자동채취장치 5대를 추가 설치하고 기업체의 자율적인 환경오염 예방 활동 참여를 위해 민·관이 협력해 4월부터 10월까지 울산지역 154개 업체로 민간자율환경순찰반을 설치 운영하고 석유화학공단 등 5개 지역을 대상으로 매일 순찰활동을 펼친다고도 했다. 대책의 방향성과 필요성은 충분히 공감되고 있다. 어쨌든 이번만큼은 이러한 종합대책이 반드시 좋은 성과로 이어져야 한다. 해마다 대책만 되풀이한다면 시민들은 더 이상 울산시의 악취방지 대책을 믿지 않게 된다. 악취 문제는 남 탓으로 돌릴 일도 아니다. 자치단체는 시민이 체감할 수 있는 쾌적한 생활환경을 위해 악취 근절에 사활을 걸어야 한다.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