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부산, 울산, 경남을 중심으로 또 하나의 수도권을 지향하는 메가시티를 구상하고 수도권에 집중되는 인구, 경제, 인프라, 미래신산업 등이 몰리는 것을 방지하고 부울경 메가시티로 흡수하겠다는 전략으로 추진되고 있다.
부산, 울산, 경남을 중심으로 또 하나의 수도권을 지향하는 메가시티를 구상하고 수도권에 집중되는 인구, 경제, 인프라, 미래신산업 등이 몰리는 것을 방지하고 부울경 메가시티로 흡수하겠다는 전략으로 추진되고 있다.

인구 감소 문제가 심각해지면서 지방 소멸이 머잖았다는 주장이 심심찮게 흘러나온다. 지방이 살아남아야 하는 길은 선택이 아닌 필수가 돼버린 실정이다. 산업이 침체되고 인구가 줄면서 소비 기반이 사라지는, 경제적 활동이 위축되는 지방소멸은 울산이 극복해야 할 최우선 과제다. 지역에 새로운 경제적, 사회적 활력을 불어넣기 위해서는 인구 증가, 경제 활성화, 미래 신산업 육성 등이 꼽히고 있다. 지방 분권을 강화해서 그 지역 특색과 실정에 맞는 행정을 펼치고 시민들을 도와야한다는 주장이 나온다. 옛말에 '사람은 나면 서울로 보내고, 말은 나면 제주로 보내라'는 말이 있다. 서울은 정치, 경제, 사회, 문화의 중심이어서 사람이 살아가기에 가장 좋은 조건을 가졌기 때문일 것이다. 그러나 이 말은 이제 사라질지도 모른다. 부산, 울산, 경남을 중심으로 또 하나의 수도권을 지향하는 메가시티를 구상하고 있어서다. 지역 균형발전을 위해 시작한 울부경 메가시티 전략은 미래 활성화의 원동력이 될 것이다. 앞으로는 지방균형발전이 이뤄져 '사람은 서울로'라는 말보다 대한민국 국민이라면 어디서 태어나도 행복한 삶을 누릴 수 있는 세상이 펼쳐진다. 


산, 부산, 경남은 역사적으로도 한몸이었다. 부산은 1963년 경남에서 분리됐고, 울산은 1997년 분리됐다. 부산과 울산은 제조업 부흥 등으로 일자리를 찾으러 전국에서 인구가 몰리면서 광역시로 분리된 상황이다. 뿌리는 같은 곳이라는 점이다. 

 울부경 메가시티 계획도 이러한 역사에서 출발했다. 과거 한 몸이었던 지역을 행정적으로 구역을 나눴지만 그 경계를 허물고 같이 성장해 나가는 것이 시발점이다. 

 생활, 경제 등 기능적으로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는 울부경 도시들이 모여 인구 1,000만 이상의 거대 도시를 형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현재 부산 336만명, 울산 113만명, 경남 332만명 등 790만명이 같은 생활권을 형성한다. 

 울부경 메가시티는 수도권에 집중되는 인구, 경제, 인프라, 미래신산업 등이 몰리는 것을 방지하고 울부경 메가시티로 흡수하겠다는 전략으로 추진되고 있다. 

 울부경에서도 얼마든지 수도권을 능가할 수 있는 '살기좋은 환경'을 만들고자 뜻을 같이했다. 좋은 일자리 창출을 위한 기업 유치, 창업 활성화 등 인프라를 구축하고 우수 인재를 양성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만들어간다는 계획이다. 

 경남권에만 국한될 것이 아니라 영남권을 아우르는 광역도시생활권을 조성하겠다고 울산시는 공공연히 밝혀오고 있다. 울부경은 800만명 규모이지만 영남권으로 확대될 경우 1,300만명이라는 규모의 경제가 발생해서다. 수도권 2,600만명의 절반 수준으로 거대해지면 수도권에 집중된 기능이 적절히 분산되는 효과를 가져오겠다는게 울부경 메가시티의 계획이다. 
 
울경 메가시티는 생활, 경제, 문화, 행정공동체를 형성하기 위해 추진된다. 

 우선 생활공동체 형성을 위해 광역교통체계를 구축한다. 편리한 광역교통망을 구축해 하나의 생활권으로 간다는 계획이다. 

 울산은 2030년께 부산~양산~울산 광역철도 개통으로 이들 도시간 1시간 생활권으로 들어오게된다. 울산역~김해 진영을 잇는 동남권순환 광역철도, 태화강역에서 송정역(가칭)을 잇는 동해선 광역철도 등으로 한층 교통망이 편리해질 전망이다.  

 광역도로는 순항중이다. 함양울산고속도로는 밀양에서 울산 구간은 이미 개통한 상태다. 2023년 창녕과 밀양 구간, 2024년 북함양과 창녕 구간이 차례로 개통해 2024년 전구간 개통으로 같은 생활권을 형성한다. 

 인재를 지역이 함께 키우기 위해 기업, 지자체, 지방대학, 연구기관이 뭉쳐 지역 특색에 맞는 인재를 집중 육성한다는 방침이다. 

 경제공동체 형성에는 부산, 울산, 경남의 주력산업을 중심으로 진행된다. 

  항만, 철도, 공항이 결합해 동북아 물류 허브를 구축한다.  스마트산업단지와 물류 R&D 센터, 스마트 물류단지를 조성해 경제자유구역을 확대하고 기업하기 좋은 환경을 만든다는 전략도 담겼다. 

 수소 경제권 형성도 목표로 하고 있다. 울산이 주도적으로 진행하는 수소산업은 대규모 수소생산시스템을 확충하고 수소배관망을 서로 연결한다. 울산은 수소경제 동맹 구축으로 선도사업 추진이 가능해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미국 실리콘밸리처럼 아시아를 무대로 한 스타트업 벨트를 구축해 창업지원생태계를 조성하고, 스타트업에 투자할 울부경 창업펀드를 조성한다. 

 문화적인 측면에서는 역사, 문화 관광벨트를 구축한다. 

 영남알프스의 산악, 동해와 남해를 아우르는 해양, 낙동강과 태화강 생태투어 등 자연, 선사시대, 가야, 유교문화 등 관광자원을 활용해 하나의 관광지역으로 발전시켜 나갈 전망이다. 

 이 모든 전략을 효과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울부경 거버넌스를 구축했다. 최근 울부경특별연합추진단이 발족했고, 울부경 특별연합은 내년 상반기께 출범할 예정이다. 
 
남·울산·부산 메가시티 전략으로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지만 우려의 목소리도 나온다. 지리적인 이점과 거대도시라는 점에서 부산이 중심 역할을 할 것이라는 주장이 계속되고 있다.  부산 블랙홀화 될 것이라는 전문가의 견해도 나온다. 이에 대해 울산시는 수도권 집중화와 지역 위기는 가속화 되고 있고 소멸 현상에 바로 대응해야 할 만큼 생존 전략을 마련해 나가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수도권은 서울을 중심으로 경기, 인천이 함께 발전하듯이 울산도 경남과 함께 성장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김재홍 울산대학교 행정학 교수는 "거점을 중심으로 광역화, 다극화하는 것은 세계적인 추세고, 프랑스와 일본 등에서는 이미 광역화를 통해 새로운 성장엔진을 만들어가고 있다"며 "울부경 메가시티는 수도권에 쏠려있는 산업, 문화, 관광 생태계를 울부경 지역으로 가져오자는 데에서 출발한 것으로 울부경이 하나의 생활권으로 형성되면 인구 증가로 인한 경제활성화, 산업 연계로 혁신기업 육성과 창업 생태계 마련, 이에 따른 인재육성이 가능해지고 교통망 확충으로 접근성도 용이해진다"고 밝혔다. 그는 또 "다만 울산은 지리적으로 부산에 주도권을 뺏길 가능성이 있는데 영남권 메가시티를 형성해 울산을 중심으로 확대해 나갈 필요가 있다"며 "울부경을 중심으로 국가의 주요 기능, 중추기능이 들어올 수 있도록 울산에서도 적극적인 목소리를 낼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강은정기자 uskej@ulsanpress.net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