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인터넷은 이미 사회 인프라로 자리 잡은 지 오래다. 시민들의 정보격차 해소와 보편적 정보통신복지 서비스 제공이라는 측면만 고려해도 그렇다. 특히 와이파이망은 공공재라는 명제하에 이뤄지는 사업이다.

네트워크 자체는 스마트시티를 위한 기본 바탕일 뿐만 아니라 사물인터넷을 통해 지능화를 다질 인프라이기도 하다. 따라서 공공와이파이 확대 구축은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있어서 정보 통로의 핵심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를 모은다.

다만 편리한 기능의 스마트폰 보급 이면에 가계 통신비가 가중이라는 단점은 해소돼야 할 부분이다. 울산시가 '공공와이파이(Public Wi-Fi) 인프라 구축사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와이파이(무선인터넷)는 음악, TV, 쇼핑, 배달, 금융거래, 교통이용 등 생활 전반의 다양한 서비스를 주로 스마트폰 등을 통해 제공하고 있다. 직접 줄을 서거나 만나서 처리해야만 했던 일들이 줄어들면서 시간과 비용을 절감시키고, 신속·정확한 정보 검색으로 더 좋은 판단을 할 수 있도록 해준다.

이에 따라 울산시는 우선 올 연말까지 태화강국가정원, 버스정류장, 문화체육시설 등에 공공와이파이 33대를 설치하기로 했다. 기존 설치된 2,120대를 포함할 경우 총 2,153대의 공공와이파이가 운영되는 것이다.

그러나 공공와이파이를 지속해 늘리는 것도 중요하지만, 문제는 기술발전에 따른 보안성, 안정성을 높이는 것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2019년도에 구축한 '공공와이파이 통합관리시스템'을 올해 말까지 전국의 공공와이파이와 연동, 운영키로 한 건 이와 맥을 같이 한다.

울산시도 '공공와이파이 제공 및 이용 활성화에 관한 조례'를 지난 8일 제정함에 따라 앞으로 체계적인 관리 및 지속적인 확대 구축에 나선다는 방침을 세웠다. 그렇지만 아무리 좋은 제도나 시설도 활용도가 떨어진다면 바라는 목적을 달성할 수 없다.

예산 관리나 품질 관리, 보안 기술 표준 관리 등에 대한 면밀한 검토와 지원을 통해 편리성과 신속성을 더욱 강화해야 한다. 관내 공공와이파이에 대한 통합 관제 센터를 운영할 필요도 있다고 본다. 이를 위해 정부와 광역단체, 기초단체의 협력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하겠다.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