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울산지역 시내버스 운송회사 중 한 곳인 A사가 경영부실 및 유동자금 부족으로 인한 연료비 누적 체불로 연료공급업체가 연료공급 전면 중단을 예고해 해당 운송업체가 운행 중인 시내버스 10개 노선의 운행이 중단될 위기에 놓였다. 사진은 울산 시내버스 율리공영차고지 전경.  이상억기자 agg77@
울산지역 시내버스 운송회사 중 한 곳인 A사가 경영부실 및 유동자금 부족으로 인한 연료비 누적 체불로 연료공급업체가 연료공급 전면 중단을 예고해 해당 운송업체가 운행 중인 시내버스 10개 노선의 운행이 중단될 위기에 놓였다. 사진은 울산 시내버스 율리공영차고지 전경. 이상억기자 agg77@

울산 시내버스 업체 중 신도여객이 경영난으로 연료 공급을 받지 못해 당장 31일부터 운행을 전면 중단할 예정이다.   

 준공영제를 도입하지 못하고 막대한 혈세만 지원하는 기형적인 울산의 시내버스 운영 구조가 만들어 낸 예상된 비상사태다. 

 시는 당장 신도여객이 운행을 중단하는 노선에 대체 차량을 투입해 시민 불편을 최소화하겠다는 입장이지만, 신도여객이 파산할 경우 연대보증을 지고 있는 시내버스 조합에도 큰 부담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결국 울산도 준공영제를 하루빨리 도입하는 등 만성적인 시내버스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해야 한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29일 울산시는 울산지역 6개 시내버스 운송회사 중 신도여객이 경영부실 및 유동자금 부족으로 인한 연료비 누적 체불로 최근 연료공급업체인 ㈜경동도시가스로부터 연료공급 전면 중단 통보를 받았다고 밝혔다.

 신도여객이 30일까지 5월 사용분 중 최소 1억원을 납부하지 않으면 31일 오전 6시 30분부터 버스 연료인 CNG 공급을 중단하겠다는 것이 경동 측의 입장이다. 

 현재 신도여객이 경동도시가스에 지급하지 않고 있는 가스료는 모두 20억 8,000만원이다. 

 지금 상황으로 봐서는 신도여객이 채무를 해결할 능력이 없어 보인다. 

 이미 지난 2019년 8월 부채 증가로 법원에 회생 신청을 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고, 퇴직금을 지급하지 못해 버스 운송 수익금 4억원 가량이 압류돼 있다. 더군다나 최근 기업 매각을 시도했지만 신도여객의 전체 부채가 130억원에 달해 이 마저도 이뤄지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31일부터 신도여객의 73대 버스가 운행을 멈추게 되면 10개 노선이 직접 타격을 받는다. 

 시는 울산여객 등 4개 운송회사의 38대 버스를 긴급 투입해 대체 운행한다는 대책을 세워놓고 있지만, 1127번과 5005번 노선은 대체할 방법을 찾지 못했다. 

 1127번의 경우 비슷한 경로의 노선이 따로 있지만 달천~KTX역 구간을 달리는 5005번의 경우 유일 노선이어서 시민 불편이 불가피하다. 

 매달 5억원에 달하는 재정지원금을 울산시는 신도여객에 지원하고 있지만, 현재로서는 살릴 방법이 없다. 

 울산시 관계자는 "신도여객이 파산을 하던지, 매각되던지 결론이 나야 울산시가 노선을 환수하거나 다른 운행 사업자를 모집하는 등 후속 조치가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며 "신도여객은 현재 전체 부채가 130억원에 달하는 만큼 울산시의 단순 재정지원으로는 회사를 살릴 수 있는 방법이 전혀 없다"고 말했다. 

 이번 신도여객 사태는 단순히 한 기업의 부실 문제가 아니라는 의견은 이미 제기됐다.  

 울산시는 지난 2019년 만성적인 시내버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시내버스 혁신위원회'를 6개월에 걸쳐 진행한 바 있다. 

 혁신위는 논의 결과로 '대중교통 중심 도시 울산 실현을 위한 정책과제 제안'을 발표하면서 시내버스 업체에 대한 시 재정지원 비율 지속 증가 등을 고려할 때 퇴직적립금 확보, 압축 천연가스(CNG) 미지급금 및 부채 해결 등을 조건으로 하는 준공영제 도입을 적극 추진해야 한다고 제안한 바 있다. 

 또 혁신위는 다중복합운영체계를 바탕으로 한 준공영제를 권고했다. 

 울산형 다중복합운영체계는 지역 여건 등을 고려한 경쟁체계 조성과 서비스 사각지대 해소를 위해 조건부 준공영제, 부분적 공영제, 신모델 경쟁체계 3가지를 담았다. 

 이에 대해 시내버스 조합 관계자는 "신도여객의 연료비 체납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조합이 연대 보증을 섰는데 결국 이를 갚지 못하면 조합 전체에 큰 부담으로 작용하고, 이는 총체적 부실로 이어지게 될것"이라며 "보다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개선책을 찾아야 한다"고 말했다. 
   김지혁기자 uskjh@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