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울산발전연구원. ⓒ울산시
울산발전연구원의 전경. ⓒ울산시

울산 발전을 위한 연구와 정책 개발 등 싱크탱크 역할을 해야 할 울산연구원이 제기능을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지역 현안에 대해 깊이 살펴보거나 미래 비전을 제시하는 연구보다 시·구·군의 맞춤형 연구 용역 기관으로 전락했다는 비판이 나오고 있어서다. 

 울산시가 울산연구원 성장을 위해 다양한 연구인력을 확보하고 심도있는 연구를 할 수 있도록 재정적 뒷받침을 해야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4일 울산시에 따르면 울산연구원은 지난달 29~30일, 지난 1일 등 사흘에 걸쳐 2021년 기본정책 연구과제 28건 최종보고회를 열었다.  

 울산연구원이 수행한 연구들은 기본과제 23건, 정책과제 5건이다. 

 연구 내용으로는 기후위기 대응역량 강화 위한 연구센터 설립 타당성 연구, 생태관광 콘텐츠 개발 연구, 시립미술관 일대 문화특화지역 조성방안 연구, 울산 인구정책 종합계획 수립에 따른 방안 연구, AI 기반 경제데이터 분석 및 예측모형 개발, 수소충전소 경제성 확보 방안, 울산원전해체기술 현황과 발전방안 등이다. 

 박사급 연구원 25명이 수행한 과제들로 대다수 울산시에서 발주, 의뢰한 것이 대부분이다. 

 울산연구원에 따르면 전체 업무의 90% 이상을 울산시나 구·군에서 요청하는 정책 발굴을 위한 기본과제와 정책과제 수행을 하고 있는 실정이다. 

 울산연구원은 출범 당시에는 울산의 발전과 시민의 삶의 질을 높이는 정책 개발을 도맡아 하는 연구기관으로 시작했다.

 하지만 20여년이 지난 현재 정책 진단이나 대안 제시, 미래 먹거리 발굴 등 전문성과 창의성을 요구하는 연구 등의 수행은 찾아볼 수 없을 정도다. 

 울산 현안 이슈나 아젠다를 이끌기 위한 즉각적인 대안 제시는 힘든 상황이다. 

 이런 탓에 새로운 정책 아젠다를 발굴하거나 지역 현안을 해결할 논리 개발, 이슈를 이끄는 존재감을 보여주지 못한다는 지적이 계속 나오고 있는 상황이다. 

 한 관계자는 "최근 논란이 커진 울산공항 확장, 이전, 폐항 등을 논의하고자 하는 이슈가 나오면 울산연구원에서는 이를 뒷받침하는 연구 등이 제시돼야 하는 순기능이 있어야하는데 울산연구원은 현안을 대처하지 못한다는 아쉬움이 있다"라고 지적했다. 

 울산연구원은 매달 4건 가량 A4 2장 분량의 브리프를 통해 축약한 연구를 발표하고 있지만, 시사점을 남기는 것 보다는 현 상황을 '강조'하거나 '보충' 정도의 제언들이 나오고 있어 아쉽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이와 함께 중앙부처나 국책연구기관과 교류가 없어 정보공유나 정부 사업 반영 여부 등에 뒤처지는 것 아니냐는 의구심도 나오고 있다. 

 잇따른 지적에 울산연구원에 대한 대대적인 재정비가 이뤄져야 한다는 목소리가 힘을 얻고 있다. 

 한 관계자는 "이 같은 여러 사정을 다 따져보면 연구원 내부에서는 '인력은 부족하고 수행할 과제가 넘쳐나 시간이 부족하다'는 볼멘소리가 나온다"라면서도 "불평 불만보다는 문제에 대해 적극 어필하고 이를 해소하려는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 다른 관계자는 "연구원의 열악한 환경을 개선하고 연구진들이 편안한 환경 속에서 연구에 매진할 수 있도록 뒷받침하는 것이 우선적으로 시행돼야 할 것"이라며 "연구의 질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이 무엇인지 내부와 소통하는 시간도 필요하다"라고 지적했다. 

 울산연구원의 발전을 위해서는 울산시의 충분한 재정적 뒷받침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울산연구원 관계자는 "부산연구원 등 다른지역 연구원과 비교해 1년에 수행해야 할 연구과제가 많고, 임금이나 처우 등도 낮은 편에 속해 인력난 등 애로사항이 있다"라며 "그동안 의미있는 연구를 통해 정책으로 이어지는 등 제역할을 해왔다. 올해 수행한 연구 과제들을 언론 등을 통해 공개해서 울산 발전을 위한 제안을 시민들에게 알리겠다"고 밝혔다.  
 강은정기자 uskej@ulsanpress.net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