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울산지역 산업단지에서 스마트팩토리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는 가운데, 현재 운영·적용단계인 '분석 및 진단'을 넘어 제조업 생산 및 안전관리에 대한 '예측시스템'이 도입돼야 한다는 제언이다. 

이 같은 의견은 20일 '더 안전한 울산을 위한 산업재해 감소방안'을 주제로 열린 제31회 화학네트워크포럼 및 산업안전CEO포럼에서 제기됐다. 울산시·고용노동부 울산지청·RUPI사업단이 공동주관한 행사다.

이날 포럼에 따르면, 최근 스마트팩토리는 분석 및 진단을 넘어 예측 단계에 와 있으며, 현재 국내외 많은 기업이 스마트 제조에 관한 연구와 투자 및 디지털 혁신 활동을 활발하게 이어가고 있다.

중소벤처기업부의 핵심정책인 '스마트팩토리 보급 확산사업'은 2022년까지 전국에 스마트공장 3만개 구축을 목표로 2019년부터 본격 추진되고 있다. 

울산에서는 울산중소벤터기업청과 울산테크노파크가 추진 중으로 지난해 총 97개사가 스마트 구축사업에 참여했다. 

글로벌 스마트팩토리 선도기업의 경우, '분석 및 진단' 단계에서 나아가 제조업의 주요 목표인 생산량 확대, 품질 개선, 안전관리, 에너지 사용 감소를 위해 다양한 '예측시스템' 도입에 투자하는 움직임이다. 

그러나 국내기업들은 이보다 더딘 '분석 및 진단'의 단계를 확보 중인 것으로 포럼은 진단했다. 

이에 포럼 참석자들은 "아직 국내 팩토리 및 플랜트에 설치된 장비와 장치들은 네트워크로 연결되지 않아 실시간 확인이 어렵고 필요한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와 같은 집적시스템에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며 "향후 발생할 현상예측을 위해서는 팩토리 및 플랜트에 설치된 수많은 장비장치로부터 여러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판단해 사용자에게 통찰을 제공해야 한다"고 공감했다. 

또 이 자리에선 산업재해 위험 요인 해소 차원에서 '안전보건 관리체계 구축'의 필요성이 강조됐다. 

박종훈 화학네트워크포럼 대표는 "우리나라의 산업재해 사고 사망자 수는 OECD 회원국 중 최고 수준"이라면서 "일터에서 지속가능한 산업재해 예방체제가 정착되려면 산업현장 참여자들의 자발적인 인식 공유와 함께, 기업 스스로 산재 위험요인을 개선해 나갈 수 있는 안전보건 관리체계 구축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미영기자 lalala4090@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