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올해 코로나19 충격에도 불구하고 전국 고용시장은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임금근로자 수가 지난해보다 증가한 덕택이다. 하지만, 울산은 7대 광역시 중 유일하게 일자리 감소 지역으로 꼽혔다. 고용 경직성이 강한 제조업 중심의 산업 구조와 인구감소 등이 주요인이라고 하니 시사하는 바가 크다. 

통계청이 최근 발표한 2021년 8월 경제활동인구조사 가운데 근로 형태별 부가 조사 결과에 따르면 올해 임금근로자 수는 2,099만 2,000명으로 지난해 8월 대비 54만 7,000명(2.7%) 증가했다. 이 가운데 정규직은 지난해 8월보다 소폭(9만 4,000명, 0.7%) 감소한 1,292만 7,000명이었는 반면, 비정규직은 지난해 8월보다 무려 64만 명(8.6%) 증가한 806만 6,000명으로 조사됐다.

비정규직 비중은 지난해 36.3%보다 2.1%포인트 상승한 38.4%였다. 불황 산업에선 불황을 이유로, 호황 산업에선 지속성 불투명을 이유로 정규직 채용을 꺼리는 상황이 이어지고 있다는 얘기다.

문제는 울산의 임금근로자가 전국 7개 광역시 중 유일하게 급감했다는 점이다. 올해 8월 임금근로자가 45만 4,000명으로 조사됐는데 이는 전년 동월 46만 4,000명보다 1만명가량 감소한 수치다. 부산은 5,000명, 대구 4만 8,000명, 인천 7,000명, 광주 7,000명, 대전 4,000명이 증가한 것에 비하면 상대적 박탈감은 훨씬 크게 느껴진다.

비정규직이 차지하는 비중도 전체 임금근로자의 34.8%로 나타났다. 근로자 10명 중 3.5명이 비정규직인 셈이다. 물론 울산의 산업 특성상 고용 경직성이 강한 제조업이 주류이고 최근 인구감소세가 지속되면서 임금근로자 급감 상황을 초래하고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공감하는 부분도 있다.

게다가 임금근로자 증가를 기록한 타 광역시의 경우를 살펴보면 정규직 감소를 상쇄하고도 한참 남은 비정규직 증가에 오롯이 힘입은 결과인 것을 알 수 있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정규직 임금근로자의 감소를 바람직하다고 볼 수는 없는 노릇이다. 코로나19 위기를 계기로 드러난 노동시장 구조 변화에 대한 분석과 대책 마련이 요구된다.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