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울산의 인구 역외유출이 생각보다 더 심각하다. 최근 통계청이 발표한 '2021년 국내 인구 이동'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울산지역 전입자는 12만 9,000명, 전출자는 14만 3,000명으로 순유출 인구가 1만 3,658명이나 됐다.

지난 7년간 역외로 빠져나간 순유출 규모 가운데 최대치를 기록했다. 특히 인구 고령화 영향으로 전국의 인구 이동이 2019년 이후 2년 만에 감소세로 돌아섰으나 울산은 여전히 이탈 현상이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물론 순유출이 발생한 시도는 울산 외에도 서울, 대구, 부산 등 9곳이 있다. 하지만 그중에서 울산이 지역 인구 대비 순이동자 수 비율인 순유출율이 전국 최고 수준이라는 데 심각성이 있다. 

울산의 인구 역외유출이 어제오늘의 문제가 아닌 데다 청년층에 집중되고 있다는 점에서 질적으로도 매우 악성으로 여겨진다. 울산의 연령대별 순이동자 수를 보면 전 연령층에서 이탈이 이뤄졌는데, 특히 2030세대의 유출이 컸다. 전체 이동자의 56%를 웃돌았다. 20대의 유출이 가장 높았고 이어 30대, 50대, 40대 순으로 나타났다. 

눈에 띄는 점은 울산 전출자들이 경기도로 가장 많이 옮겼고, 다음순으로 서울로 이동하면서 수도권 집중 현상을 나타냈다는 것이다. 이어서 부산이 뒤를 이었다. 이는 울산에 양질의 일자리가 없다는 점을 방증한다. 그렇다고 생계 기반이 마련되지 않는 상황에서 일자리를 찾아 외지로 떠나는 청년들을 결코 탓할 수만은 없는 일이다. 울산의 인구유출 대책이 양질의 일자리 창출에 초점이 맞춰져야 하는 이유다.

울산시와 5개 구·군이 고용창출에 공을 들이고 있는 건 사실이다. 얼마 전 울주군과 군민들이 온산공단 소재 기업체들의 본사를 울산으로 이전하라는 목소리를 구체화한 것도 같은 맥락이다. 여기저기서 경고음이 울린 만큼 이들의 이탈을 막기 위한 전방위 대책이 필요하다.

무엇보다 청년들이 일하고 싶어 하고, 일할 수 있는 기반을 조성하는 과제를 자치단체들은 물론 기업들도 우선순위에 놓아야 한다. 청년들이 울산서 안정적으로 정착할 수 있도록 제도적 기반을 조성하는 것도 중요하다. 울산대학교를 비롯한 지역 대학의 활성화 지원책은 물론 기업유치 전략을 다양하게 수립해 역외 이주를 모색하는 청년들의 발걸음을 잡아야 한다는 점을 다시 한번 강조한다.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