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최근의 수출 호조는 코로나19에 따른 일시적인 현상으로 향후 전망은 밝지 않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앞으로 교역 환경은 과거 장기 부진 상황으로 회귀 가능성이 높다는 점에서 경계와 대비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26일 산업연구원(KIET)은 이 같은 내용이 담긴 '최근 수출 호조의 배경과 함의'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 통관 수출은 4월까지 18개월 연속 증가세, 14개월 연속 두 자릿수 증가율을 지속하면서 호조를 보이고 있다. 이 같은 수출 호조의 원인은 주로 코로나 경기변동과 관련된 단기적인 요인의 영향이며 주요 교역국에 공통적인 현상이라고 분석했다.

연구원은 수출 호조의 원인으로 코로나 침체로부터의 빠른 경기회복, 서비스로부터 재화로의 수요 이전, 인플레이션에 따른 수출가격 상승, 디지털화 가속 4가지를 꼽았다.

코로나 확산으로 세계 경기가 급락한 이후 백신이 보급된 지난해 상반기부터 다시 경기가 급반등하며 빠른 수출 회복이 이뤄졌다는 분석이다. 또 감염병 위협이 서비스에서 재화로의 수요 이전을 야기하면서 재화 비중이 높은 수출 증가에 영향을 미쳤다. 여기에 글로벌 인플레이션에 따른 수출가격 상승과 코로나 이후 디지털화 가속화 추세도 IT 비중이 높은 우리나라의 수출 호조를 견인했다.

산업연구원은 최근 수출 호조 원인이 대부분 코로나 경기변동의 특성과 관련된 단기적인 성격에 국한된 것으로, 가격 효과를 제외한 실질 수출은 코로나 이전 추세로 회귀할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 

우크라이나 전쟁, 글로벌 인플레이션 심화, 중국의 코로나 봉쇄 등으로 향후 단기 교역환경은 더 악화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코로나 확산 이전 수출 부진에 영향을 준 선진국의 반세계화 여론, 보호주의 추세, 미·중 분쟁 등이 여전히 현재 진행 중이라는 이유에서다.

이미 4월 수출(잠정치)의 경우 가격 요인을 제외한 수출물량은 전년 동월보다 소폭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IMF는 4월 세계경제전망에서 세계경제 및 교역 증가율 전망치를 1월 전망에 비해 크게 하향 조정했는데, 조정 폭이 과거 세계금융위기와 2020년 코로나 경기침체 다음으로 큰 수준인 점을 미뤄볼 때 수출 환경이 악화될 것이라는 전망이다.

여기에 우크라이나 전쟁이 장기화되고 글로벌 인플레이션이 진정되지 않을 경우, 세계 경제의 스태그플레이션 가능성과 함께 수출은 코로나 이전보다 더 심각한 부진을 보일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산업연구원 측은 "앞으로의 교역 환경 전망은 단기적으로나 중장기적으로 모두 밝지 않다는 점에서 경계와 대비가 필요하다"며 "미·중 분쟁에의 유연한 대응, 탈탄소화나 디지털화 추세를 활용하는 산업 및 무역정책 등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미영기자 lalala4090@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