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30년 뒤 울산인구가 84만명으로 줄어든다는 충격적인 추계가 나왔다. 통계청의 2022년 3월 인구동향 결과 자료다. 특히 출산 상황이 크게 나아지지 않는 최악의 시나리오로 갈 경우 77만명으로 급격히 쪼그라들 것이라 한다. 무엇보다 출생아가 사망자를 밑도는 인구 자연감소 현상이 심화되는 분위기가 크게 작용한다. 실제 지난해 11월 첫 인구 자연감소(-2명)가 나타난 이후 3월에는 -270명으로 감소 규모가 확대됐다.  270명 감소는 전달 14명 감소에 비하면 20배가량 확대된 수준이다. 출생아가 사망자를 밑도는 '인구 자연감소' 현상은 울산에서는 지난해 11월(-2명)에 사상 처음으로 나타났다. 그동안 '자연 증가' 지역으로 가까스로 유지해오던 터라 충격파가 더 크다. 

 지난해 11월에 이어 12월 -94명으로 자연 감소 수준이 크게 늘었다가 올해 1월 22명으로 '반짝' 인구 자연 증가로 나타났으나 2월에 -14명, 3월 -270명으로 자연 감소 폭이 커지는 추세다. 원인은 출생아 수와 사망자 수치에서 드러난다. 3월 출생아 수는 525명으로 1년 전 552명보다 27명 줄었다. 이 때문에 조출생률(5.5명)도 3월 기준 최소 기록을 갈아치웠다. 반면 3월 울산지역 사망자 수는 796명으로 지난해 동월 444명보다 352명 급증했다. 이에 따라 3월 울산 인구가 270명 자연 감소한 것이다. 

 이처럼 인구 자연 감소 현상 심화와 함께 인구 유출도 지속되는 등 울산지역 인구절벽이 갈수록 가팔라지고 있다. 통계청의 4월 국내인구이동 통계를 보더라도 지난달 울산에서는 638명이 빠져나갔다. 이는 지난해 3월에 비해선 1,140명 유출된 것이다. 이로써 3월 순이동률은 -0.7%로 17개 시·도 가운데 광주에 이어 2위였다. 
 문제는 이에 대한 마땅한 대책도 없다는 점이다. 탈울산이 심화되면서 활력을 잃고 있어 심히 우려하지 않을 수 없는 지경인데도 고작 내놓은 것이 '울산 주거 울산 주소 갖기 운동'과 '기업 유치' 등 소극적인 정책에 불과하다. 지금에 와서는 필요하다는 명분으로 의욕만 앞세운 전시행정에 다름 아니다. 미래에 대한 강력한 인식 전환과 이를 위한 시민 모두의 적극적인 실행의지가 절실하다. 인구감소는 도시 발전의 성장동력 상실과 다를 바 없다. 일자리 창출로 심각한 출산 저하를 해소하는 일부터 고민해야 할 때다.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