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더불어민주당의 친문(친문재인)과 친명(친이재명) 간 계파갈등에 극에 달하고 있다. 친문계가 지방선거 참패에 대해 '이재명 책임론'을 제기하며 공세를 펴며 선공을 날렸다. 이에 친명계도 이재명 의원에 대한 집단 공격을 준비한 게 아니냐는 '작전론' 의혹을 제기하며 맞불을 놓고 있다. 친문-친명이 공격과 반격을 주고 받으며 계파갈등이 심화되고 있다.


 양측이 대선·지방선거 패배 책임론을 명분으로 '내전' 중이지만, 속내는 새로 선출될 당대표가 임기를 모두 채울 경우 오는 2024년 총선 공천권을 행사한다. 어느 계파가 차기 당권을 차지하느냐에 따라 친문과 친명계 등 전체 의원들의 '생사여탈권'을 거머쥐게 된다. 또한 22대 총선 때 계파 소속 국회의원이 많이 당선되어야 2027년 차기 대선을 바라볼 수 있어 사활을 걸 수 밖에 없다.


 민주당은 7일 의원총회에서 비상대책위원장 선임 및 비대위원 구성에 대해 논의한 뒤 중앙위원회 의결을 거쳐 최종 확정한다. 하지만 계파 간 이해관계가 첨예하게 갈리고 있어 비대위 구성 단계부터 극심한 진통이 예상된다.


 특히 차기 비대위가 조만간 열릴 전당대회(전대)의 '룰 세팅'에 관여하게 된다는 점, 궁극적으로는 이 전대 결과가 2024년 총선 공천을 좌우할 수밖에 없다는 점에서 계파간 갈등 봉합이 쉽게 이뤄지지 않을 것이라는 분석이다.


 이낙연계를 포함한 범친문계에서는 조기 전대 주장을 두고 이재명 고문의 당권 장악을 위한 것 아니냐는 의혹을 제기하고 있다. 이른바 '이재명 책임론'으로 대표되는 패인 분석을 제대로 하지 않고서 서둘러 새 당대표에 나서려는 생각이 담겨 있다는 것이다. 반대로 친이재명 진영에서는 '패인 분석을 제대로 해야 한다'는 범친문계의 주장이 오히려 이재명 고문에게 패배 책임의 화살을 돌려 전대에 출마하지 못하게 하려는 것 아니냐며 반발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설령 '혁신 비대위' 출범 자체에 합의가 이뤄지더라도 그 인선부터 다시 평행선을 그릴 수밖에 없다. 계파 색이 조금이라도 있으면 다른 계파에서 '비토'해 비대위 구성이 늦어질 수도 있다. 일각에서는 외부 인사 영입도 거론되지만 현재로서는 당 수습을 위해 당내 사정을 잘 아는 인물이 비대위를 지휘할 가능성이 더 높다고 한다.


 당내에서는 문희상 전 국회의장과 유인태 전 국회 사무총장, 김부겸 전 국무총리, 이상민 의원, 이광재·김해영 전 의원 등의 이름이 나오고 있다. 하지만 국민의힘이 김종인씨를 비대위원장으로 영입했듯이 민주당도 계파 갈등에서 초월한 외부 인사를 영입해야 고질적인 계파 싸움을 종식시키고 쇄신에 성공할 수 있다는 얘기도 있다.


 정가에선 8월 전당대회가 친문과 친명계 중 한쪽의 승리로 끝날 경우 패배한 쪽은 '분당'을 선택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한다. 지난 2015년 2·8 전당대회에서 문재인 당시 대표가 승리한 후 갈등을 빚던 총선 직전 비노·호남계 의원들은 탈당해 국민의당을 창당했다. '공천학살'에 대한 공포가 현실화되기 전까지는 전당대회 이후에도 계파간 주도권 쟁탈전이 계속될 전망이다. 김응삼기자uskea@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