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오래전부터 경고등이 켜진 물가가 하늘 높은 줄 모르고 치솟고 있다. 이런 가운데 정부가 또 전기와 가스요금 인상 가능성을 시사해 비상이 걸렸다. 한전은 지난 16일 3분기 전기요금을 kWh(킬로와트시)당 3원 인상해달라고 정부에 요청한 상태다. 가스공사 역시 내달부터 민수용(주택용·일반용) 가스요금의 원료비 정산단가를 메가줄(MJ·가스 사용 열량 단위)당 1.90원으로 기존보다 0.67원 인상한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정부가 3분기 전기요금 인상에 제동을 걸었다. 당초 오늘로 예정된 3분기 전기요금 조정단가 발표를 돌연 연기했다. 최근 물가 부담 등을 고려해 정부가 이를 막아선 것으로 해석된다. 하지만 정부도 언제까지 버틸 지는 알 수 없다. 전기·가스요금이 국제 에너지 가격 급등으로 생산 원가 부담이 가중되고 있음을 알기 때문이다. 하지만 먼저 뼈를 깎는 자구노력을 통해 인상 폭을 최소화 할 것을 주문해 놓고 있다. 그럼에도 지켜보는 서민들의 마음은 불안하기 그지없다. 물론 한전이 전기요금 인상에 앞서 경영 효율화와 연료비 절감, 출자지분 매각, 부동산 매각 등을 선행할 것으로 내다보고는 있다. 또 이와 함께 전력시장 가격 결정 체계를 바꾸는 제도 개선 작업도 병행할 것이라는 기대도 하는 듯하다. 하지만 물가 상승은 실질소득 감소와 소비 위축으로 이어져 가계에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는 점에서 경계하는 분위기가 역력하다. 

 그나마 다행인 것은 철도·우편·상하수도 등 공공요금은 동결 기조를 이어갈 것이라는 점이다. 그래도 전기와 가스요금이 한창 오름세에 있는 가공식품과 외식 물가 등 생활물가 전반을 자극할 소지가 크기 때문에 서민들의 시름은 클 수밖에 없다. 더구나 유가와 곡물 등 원자재 가격 급등으로 인한 인플레이션 압박이 거센 상황과 맞물려 물가 불안을 부추기는 기폭제가 될 게 틀림없다. 철저한 대비책을 강구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지자체가 현장에 나가 물가 움직임을 수시로 점검하고 이를 토대로 물가를 잡는 노력을 보여야 할 것이다. 더 이상 머뭇거릴 여유가 없다. 구체적인 방안을 마련해 실행에 옮겨야 한다. 다른 한편으로 고물가에 상대적으로 피해가 더 큰 취약계층의 안정화를 위한 지원책도 적극 마련해야 할 때다.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