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자료 이미지. 아이클릭아트

2015년 조선업 구조조정으로 촉발된 탈(脫)울산이 8년째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도시 소멸론까지 거론되는 인구절벽으로 오는 2050년 울산의 경제활동인구가 지금의 절반 이상 줄어들 것이라는 암울한 전망이 나왔다.
 
전국 최고 수준의 인구 감소인데, 이를 완화하기 위해서는 울산의 인구 문제에 대한 인식 전환과 신산업 육성에서 답을 찾아야 한다는 게 전문가의 제언이다.
 
울산연구원 혁신성장연구실 강영훈 박사는 30일 낸 울산경제사회브리프에서 지역사회의 존립이 달린 울산의 인구 문제에 대한 현황과 분석을 통해 이 같은 전망과 진단을 내놨다.
 
강 박사는 브리프에서 울산은 대학에 진학하는 학령인구(10~24세)를 비롯해 직업 선택을 위한 인구(29~34세) 유출이 지속되는데 비해 인구 유입은 미미한 도시라고 현황을 짚은 뒤 다만 지난 2015년 11월 조선산업 구조조정과 이후 현대중공업의 분사가 인구 유출로 연계돼 현재까지 지역사회에 큰 영향을 주고 있다고 밝혔다.
 
인구 유출의 원인으로, 지역 산업체의 신규 고용은 이뤄지지 않고, 신산업 육성은 지연되고 있다며 중화학공업 위주인 지역 산업의 특성으로 최근 청년들이 선호하는 고부가가치 서비스분야 일자리 창출 부재도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봤다.
 
브리프에선 지난 5월 26일 통계청이 발표한 장래인구 추계(시도편)를 인용, 오는 2050년 울산의 경제활동인구는 전국 최고 수준인 50.6% 감소가 예상된다는 충격적인 전망을 냈다.
 
통계청 추계에 따르면 울산의 고령인구 증가율도 급증하고 있어, 인구정책의 한계에 봉착한 상황이라며, 2020년 대비 2050년 울산의 고령인구 증가율은 633.7%로 전국 최고 수준일 것으로 추계된다고 전했다.
 
특히 울산의 인구 증가율은 제주(-1.25%p), 전남(-0.87%p) 다음으로 낮은 -0.86%포인트라고 했다.
 
따라서 오는 2050년 울산은 전국 최고 수준의 고령인구 증가율에다 전국 최저 수준의 유소년 인구증감율(-53.0%)에 더해 전국 최고 수준의 경제활동인구 감소로 인한 전국 최저 수준의 자연증가율(-1.23%p) 발생이 예상된다.
 
결국 이대로 갈 경우 울산의 인구정책은 한계에 봉착할 것이라는 경고인 셈이다.
 
강 박사는 국내 인구가 감소하는 현실에서 울산시가 정주인구 유입 방안 마련에 집중하고 있지만, 현실적인 유동인구 확보에 더욱 관심을 높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인구 감소를 더 이상 피할 수 없는 현실에서 정주인구 유입방안은 더 이상 현실적 대안이 아니라는 얘기다.
 
대안은 광역인프라 확충, 지역 대중교통 인프라 확충 등으로 유동인구 유입에 집중하는 것이며, 특히 광역인프라 확충은 빨대효과의 우려보다는 유동인구 유입 가능성으로 바라보는 인식의 전환이 필요하다고 했다.
 
강 박사는 "일자리 창출을 통한 경제활동인구 확보가 중요하며, 우선 기존산업에서 고용 창출을 위한 해법 마련해 급한 불을 끈 뒤 신산업 육성에 따른 일자리 확보 전략이 인구문제의 궁극적인 해결책"이라고 밝혔다.
 
구체적으로 기존 산업에서는 기존 일자리를 나누는 잡 셰어링(job sharing), 근로시간 단축으로 일감을 나누는 워크 셰어링(work sharing)과 함께 임금피크제에 들어간 직원만큼 실질적인 신규 인력을 확충하고, 무형의 지식자원이 세대 간 이전될 수 있는 제도적 여건 마련 등의 일자리 창출 방안 마련도 필요하다고 방안을 제시했다.
 
강 박사는 이와 함께 "현재 추진 중인 에너지관련 신산업 육성을 속도감 있게 추진하고, 청년들이 일하고자 하는 4차 산업혁명 관련 고부가가치 서비스업 육성 등으로 산업의 스펙트럼을 다양화할 필요성이 있다"면서 "이러한 노력이 가시화되면 통계청 인구 추계에서 전망된 울산 인구감소 악순환의 고리에서 벗어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고 말했다. 최성환기자 csh9959@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