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김정민(가명)씨는 최근 낯선 번호의 전화를 받았다. 
 서울중앙지검 지능범죄수사1팀이라고 자신을 소개한 그는 김씨의 신분증이 도용돼 대포통장이 발견됐다고 운을 띄웠다.
 김씨가 신분증을 도용 당한 피해자로 보고 있으며 이에 따라 내방 혹은 녹취조사가 필요하다고 했다.
 녹취조사에 응하겠다고 하자, 개인정보보호를 위해 주민등록번호 뒷자리는 필요없다고 안심시키기도 했다. 
 생년월일과 직업을 물어본 뒤 주거래 은행 및 잔액을 물어왔다. 
 계좌의 용도를 간단히 묻고는 조사가 끝났다며 전화를 끊었다. 
 전화를 걸어온 남성은 말투가 어눌하지도 않고, 전문 수사관 분위기를 풍겼지만 어쩐지 수상한 생각이 든 김씨는 서울중앙지검에 확인 전화를 했다. 
 서울중앙지검 측은 "지능범죄수사1팀은 존재하지 않는다"고 답변했다.   
 걸려온 전화로 전화를 걸어봤지만, 발신전용 인터넷 전화였다. 

 김씨가 받은 전화는 최근 진화를 거듭하고 있는 보이스피싱이었다. 
 경찰은 아마 김씨의 기본 정보를 확인하고, 대포통장이 만들어졌다는 사실을 인식시킨 이후 다음 기회에 범죄를 시도할 가능성이 있다고 조언했다. 

 보이스피싱으로 인한 피해는 해마다 늘고 있고, 수법은 놀랍도록 진화하고 있다. 

 울산경찰청 관계자는 "검찰이나 경찰을 사칭하는 보이스피싱 범죄가 최근 진화하고 있다. 처음부터 범죄를 시도하지 않고 대포통장이 만들어졌다는 인식을 먼저 심어주고 다른 조직원이 주거래은행도 피해를 당할 수 있으니 계좌를 옮겨야 한다는 식으로 유도한다"고 조언했다. 


 또 "보이스피싱 전화를 받으면 나도 모르게 속는 경우가 허다하다. 언제든 나도 속을 수 있다는 생각을 갖는 것이 중요하다"며 "은행이나 공공기관은 절대 전화, 대면으로 현금을 요구하지 않는다"고 주의를 당부했다.

 한편 보이스피싱 범죄로 인한 피해금액은 지난 2019년 6,398억원, 2020년 7,000억원, 2021년 7,744억원으로 2년 새 1,346억원이 늘었다.
 울산지역은 2019년 139억원, 2020년 112억원, 2021년 173억원으로 2년 동안 40억원이 늘었으며 1인당 평균 피해금액도 1,500만원대에서 2,000만원대로 올랐다.  김경민기자 uskkm@ulsanpress.net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