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국민의힘이 비상대책위원회(비대위) 추진을 위한 절차를 속전속결로 밟고 있다. 비대위 체제 전환과 이에 필요한 당헌당규 개정 등을 논의하기 위한 상임전국위와 전국위를 오는 5일과 9일 개최키로 했다. 그러나 막상 비대위가 출범해도 조기 전당대회 개최 여부, 비대위 성격을 '관리형'이냐, '개혁형'이냐,이준석 대표 측의 반발 등 갈등 요소가 산적하다.
 전국위 의장인 서병수 의원은 3일 브리핑을 통해 "당헌 개정으로 올릴 안을 심사할 권한을 가진 상임전국위를 5일 오전 10시 30분 국회 의원회관1소회의실에서 개최하겠다"며 "(개최) 3일 전에 공고하게 돼 있는 전국위의 경우 9일 오전 9시에 열어 당헌 개정안을 의결할 것"이라고 밝혔다.
 서 의원은 "가급적 오는 9일, 늦어도 10일까지는 상임전국위, 전국위에서 해야 할 모든 절차를 마무리할 예정"이라며 "다만 실무적으로 준비하고 확인하는데 조금 복잡한 절차가 필요해 하루 이틀 늦어질 수는 있다"고 말했다.
 당이 비대위 체제로 전환하게 되면 현 이준석 대표 임기가 종료된다. 서 의원은 "당헌·당규상 비대위가 출범하면 즉시 전임 지도부는 해산되고 자동으로 이 대표도 제명이랄까, 해임되는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비대위원장이 당대표 권한을 갖게 된다. 자동으로 지도부는 해산되기 때문에 이 대표의 당대표 권한도 없어진다"고 했다.
 이어 "비대위가 출범하면 다음에 열리는 게 전당대회"라며 "해석에 따르면 (차기 지도부는) 2년 임기를 가진 온전한 지도부가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비대위가 출범해도 난관은 한 두가지가 아니다. 친윤(친윤석열)계는 임기 두 달 정도의 '관리형' 비대위로 9월 조기 전당대회를, 반면 친이(친이준석)계를포함한 비윤(비윤석열)계는 임기를 이 대표 복귀 전까지로 제한하는 '혁신형' 비대위를 선호한다.

차기 당권주자로 거론되는 김기현 의원은 이날 CBS 라디오에 출연해 비대위 전환 논의와 관련, "비대위를 장기화시키는 것은 우리 스스로 계속 비상 사태에서 벗어나지 않고 있다는 걸 자인하는 것"이라며 "비대위 기간을 최단기화해야 한다"며 조기 전당대회 개최 입장을 거듭 밝혔다.

김 의원은 "집권여당이 대통령 임기 초반에 비대위를 구성하는 자체가 정말 어이가 없는 일로, 매우 심각한 상황이므로 이런 상황을 조기에 해소해서 당을 정상화시켜야 한다"고 덧붙였다.

반면 하태경, 조해진 의원을 비롯한 비윤계에선 친윤계가 추진하는 관리형 비대위가 사실상 이 대표의 복귀로를 차단하기 위한 것이라 규정하고 '이 대표복귀'를 전제로 한 비대위를 주장했다. 하 의원은 이날 BBS라디오 '전영신의 아침저널' 출연, "혼란을 수습하기 위해 비대위를 하자고 해놓고 실제 목적은이 대표를 몰아내는 것"이라며 "비대위로 가더라도 이 대표가 컴백 가능한 시한부 비대위가 필요하다"고 했다.

비대위 구성과 관련한 당내 반발도 만만찮다. 당 혁신위원장인 최재형 의원은 페이스북에 "원내대표의 말실수와 텔레그램 유출로 원내대표의 지도력이 약화한 상황은 해당자가 책임을 지면 되는 것이지 그 자체를 비상상황이라고 볼 수는 없다"며 "비대위 설치를 강행하면 당은 더 혼란에 빠질 수 있다"고 반대했다.

정치권에선 '윤핵관'의 입김이 비대위 구성에도 작용할 것이란 전망과 함께 당 내홍의 한 축인 '윤핵관'이 비대위 운영에 영향을 미칠 경우 내홍만 커질 것이란 비판도 제기된다. 정진석 국회부의장과 장제원 의원이 지난 29일 김종인 전 비대위원장과 회동한 사실이 알려지기도 했다.

이와관련, 홍문표 의원은 이날 KBS 라디오 '최경영의 최강시사'에 출연, "윤핵관은 이제 한걸음 뒤로 물러서서 진짜 윤석열 정부가 잘되기 위한 방법을 새롭게 도모해야 한다"며 "이전투구하고 서로 권력 싸움하고 끼리끼리 이야기하고 몰려다니는 모습은 맞지 않는다"고 말했다.  김응삼기자uskes@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