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김두겸 울산시장이 21일 울산시청 시장실에서 서석광 울산시 경제정책 특별보좌관, 손건희 울산시 청년정책 특별보좌관에게 위촉장 수여 후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울산시 제공
김두겸 울산시장이 21일 울산시청 시장실에서 서석광 울산시 경제정책 특별보좌관, 손건희 울산시 청년정책 특별보좌관에게 위촉장 수여 후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울산시 제공

'새로 만드는 위대한 울산'을 향해 출항한 민선 8기 김두겸호(號)의 조타수 격인 정무·정책 보좌라인 진용이 사실상 완성됐다.

이와 함께 조례 제정을 통해 현재 인선에 착수한 '정책자문위원회'가 늦어도 11월 안에 출범하면 민선 8기 정책기구 설치도 마무리된다.

김 시장은 취임 80일 만에 분야별 보좌진의 자리가 채워진 만큼 내년 1월 조직 개편과 대규모 정기인사에 맞춘 친정체제 구축과 민선 8기 핵심 정책 추진에 강한 드라이브를 걸 것으로 보인다.

정책라인 중 21일 추가 위촉된 정책특별보좌관은 경제·청년 분야 2명이다.

경제정책특별보좌관은 서석광(54) 전 울주군 부군수가 위촉됐고, 청년정책특별보좌관은 손건희(25) 현 울산대학교 총학생회장이다.

서 경제정책특보는 울산시 문화체육관광국장과 종합건설본부장을 지냈으며, 올 6월 치러진 제8회 지방선거 땐 울주군수에 출마했으나 국민의힘 후보 경선에서 탈락해 본선에는 오르지 못했다.

손 청년정책특보는 울산대 IT융합학부 학생회장에 이어 공과대학 학생회장으로 활동했다.

울산시는 이들 두 특보 위촉에 대해 다양한 분야의 시정 정책 방향을 제시하고 정책의 내실화와 효율성을 높이는 역할을 기대한다며 두 특보는 해당 분야 학식과 풍부한 경험을 갖췄다고 평가했다.

이들은 비상근 형태로 활동하게 되며, 임기는 이날부터 오는 2024년 9월 20일까지 2년이다.

 

 

 

이날 경제·청년 분야까지 정책특보 위촉을 마치면서 시정 핵심 분야별 정책라인 구축이 마무리됐다.

김 시장의 시정 운영을 측면에서 보좌하는 정책라인은 상근직 6명과 비상근 8명을 합쳐 총 14명에 이른다.

상근직은 가장 먼저 임명된 임상진 정무수석을 비롯해 정책총괄 역할을 맡은 강용식 정책보좌관, 김종대 대외협력보좌관, 강정금 여성정책보좌관, 정준혁 청년정책보좌관, 김광식 노동특보가 활동하고 있다.

이와 함께 비상근직으로 활동하는 정책특별보좌관은 문화·체육·관광 분야는 김철욱 전 울산시의회 의장과 정창기 한국골프협회 부회장이 활동 중이고, 김재익 국제라이온협회(울산·양산) 전 총재는 정무, 이수식 울산과학대 교수는 환경, 김시화 울산 공공형어린이집연합회장은 아동, 사회·복지·장애인정책특별보좌관 김병수 울산사회복지사협회장은 사회·복지·장애인 분야를 맡았다.

이들 보좌라인은 시정 주요 현안에 대한 정책 방향을 제시하고, 시정 발전을 위한 정책 과제와 관련된 전문가·이해관계자, 일반 시민들의 의견 수렴 등 해당 분야의 전문성을 살려 시정 발전의 견인차 역할을 하게 된다.

이들 민선 8기 정책보좌라인은 역대 민선 시장들에 비해 다소 많은 편인데, 인선은 분야별 전문성과 활동 역량이 비교적 잘 갖춰진 인물들이라는 게 대체적인 평가다.

시장 직속의 정무·정책라인 구축이 완성되면서 다음 관심사는 늦어도 오는 11월 안에 출범하는 '시정 정책자문회원회'에 이목이 쏠린다.

시는 정책자문위 구성을 위해 이미 관련조례 제정을 거쳐 이달 8일부터 시행에 들어갔다.

정책자문위는 김 시장이 인수위 시절 운영한 정책자문단의 확대판이 될 것으로 보인다.

구성 규모는 110명으로 역대 시정 자문기구 중 최대이며, 위원은 공무원을 제외하고 전원 민간 전문가 등으로 꾸릴 예정이다.

정책자문위 내에는 각 분야별 분과를 설치해 활동의 효율성을 높일 계획이다.

설치 예정인 분과는 △경제·사회·노동 △도시·교통·건설 △문화·관광·체육 △복지·건강 △환경·녹지 △안전·소방·경찰 △기획·재정 △행정·자치 등 8개다.

시는 현재 정책자문위 구성을 위한 분야별 위원 인선에 주력하고 있으며, 이르면 10월 중, 늦어도 11월 안에 공식 명칭을 단 정책자문위를 출범시킬 예정이다.

울산시 관계자는 "시정의 전문성을 강화하고 시민 여론을 반영하는 통로 역할을 할 수 있는 정책보좌 인력과 기구가 제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지원할 것"이라며 "정책라인이 많다고 해서 반드시 좋은 것은 아니지만, 앞으로도 정책보좌관 제도의 활성화를 위해 정책 보좌가 필요한 분야를 적극 발굴하고 해당 분야 전문가를 위촉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최성환기자 csh9959@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