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올해 공공기관의 정규직 신규채용 규모가 작년보다 줄어들 전망이어서 취업 준비생들의 낙심이 크다. 정부가 추진 중인 공공기관 혁신에 따른 정원 구조조정 여파 때문이라 해도 취준생들의 실망감은 이루 말할 수 없다. 공공기관 신규채용은 그동안 민간 채용 '마중물'과 청년 취업 기회 확대 역할을 해온 터에 이마저 줄어들면 가뜩이나 바늘구멍이던 청년 취업난이 한층 깊어질 게 뻔해서다. 특단의 보완책이 마련돼야 할 것이다.


 정부는 지난해 새 정부 공공기관 혁신 가이드라인을 발표하고 공공기관 기능 조정과 조직·인력 효율화 계획을 확정했다. 공공기관 정원 44만9,000명 중 2.8%인 1만2,442명을 구조조정했으며, 이 중 1만1,081명은 올해 줄이기로 했다. 정원 조정은 인위적인 구조조정이 아닌 퇴직·이직 등 자연 감소를 활용하는 방식으로 진행하고 신규채용에 미치는 영향도 최소화하겠다는 방침도 밝힌 바 있다. 


 그러나 이미 있는 정원을 줄여야 하는 상황에서 신규채용을 늘리기는 쉽지 않다. 자연스럽게 정규직 신규채용 규모를 전년보다 줄일 수밖에 없게 됐다. 특히 올해는 주요국 금리 인상과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여파 등 각종 대외 리스크에 따라 국내 경기 하강이 유력함에 따라 취업자 수 증가 폭도 지난해에 비해 크게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실제 기재부는 작년 81만6,000명을 기록한 취업자 수 증가 폭이 올해 10만 명으로 쪼그라들 것으로 전망한 바 있다. 다만 정부는 작년 1만9,000명이던 공공기관 청년 인턴 채용 규모를 올해 2만1,000명으로 늘리고 기존 3·6개월인 인턴 기간을 확대하는 방안을 적극 검토하겠다고 하니 그나마 다행이라는 생각이다.


 이제 남은 과제는 공공기관의 신규 인력 채용이 대폭 줄어드는 데 따른 부작용을 최소화하는 장치를 마련하는 일이다. 새해 민간 일자리 충격이 불가피한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공공 일자리로 충격을 상쇄하는 것도 필요하다. 방만한 조직과 기능은 손봐야 하겠지만 자칫 젊은층들의 사기와 활력마저 떨어뜨리는 어리석음은 경계해야 한다.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