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연초부터 난방비 폭등에 이어 식품류 가격 인상까지 겹치면서 서민들의 비명이 봇물처럼 터져 나오고 있다. 지난해에 이미 많이 올랐는데 새해에도 '가격인상 러쉬'가 이어지고 있으니 팍팍해진 서민 살림살이 이젠 파탄 날 지경이라며 아우성이다. 일부 자영업자들은 온풍기 가동을 중단하고 음식 값 등을 올리고 있지만 더 이상은 버티기 힘들다는 하소연이 쏟아지고 있다. 소득이 낮을수록 식료품 가격 인상에 대해 느끼는 부담이 상대적으로 클 수밖에 없기 때문에 물가 상승 폭을 억제할 수 있는 방안 마련이 시급해 보인다. 그렇지 않으면 서민들의 생활은 더욱 고통스러워질 수밖에 없다.


 그럼에도 식품업체들은 설 연휴가 끝나자마자 연달아 가격 인상 계획을 발표하고 있다. 물론 업체들의 입장도 이해를 못 할 바는 아니다. 재룟값이 올랐을 뿐 아니라 인건비, 물류비, 전기·가스 요금 인상 등 제반 경비가 상승해 가격 인상이 불가피하다는 점은 이해가 간다. 하지만 지금껏 식품업계는 원자재 값 상승분 이상으로 소비자에게 부담을 전가하며 제 배만 불린 경우가 허다했다. 식품은 가격 탄력성이 낮아 소비자들이 부담을 떠안을 수밖에 없다. 빵, 라면, 과자 등 상당수의 품목은 사실상 독과점 시장이나 다름없다. 정부는 경쟁 제약요소가 없는지 더 꼼꼼히 챙겨 가격경쟁을 유도해야 마땅하다. 또 하나 우려되는 것은 한파가 이어지면서 작업에 차질이 생긴 채소류 가격도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는 점이다. 게다가 공공요금도 연이어 오를 것으로 전망된다. 이로 인한 체감 물가는 상상을 초월하는 수준이다. 정부와 지자체의 물가 잡기 대책이 절실하고도 시급한 이유다.


 알다시피 고물가는 우리 경제를 침체의 늪에 빠트릴 위험이 크다. 원가 상승을 압박해 기업은 물론이고 자영업자들의 채산성 악화를 부추겨 매출 하락에 허덕이게 하고 나아가 가계의 실질소득 감소로 이어지는 악순환이 된다. 정부와 지자체가 물가 관리에 모든 수단을 동원해야 하는 까닭도 여기에 있다. 물가의 고삐를 죄지 못하면 경제회복은 물론이고 민생도 없다는 각오로 임해야 할 때다.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