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태화강 살리기'의 추진체제는 지역거버넌스의 구축과 지역거버넌스의 작동으로 설명할 수 있다. 태화강은 지방하천 구간과 국가하천 구간을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태화강의 유역은 중구, 남구, 북구, 울주군의 행정구역에 위치하고 있기에 태화강을 관리하는 것은 '국가의 책임'이며 동시에 많은 '지방자치단체의 책임'이 되었다. 태화강은 지역거버넌스의 구축과 작동을 통해서 생태하천으로 되살아났다.
 태화강의 원형보전은 지역전문가들의 지원을 받은 시민단체를 중심으로 울산시 및 시의회의 지지와 시민들의 동참을 바탕으로 건설교통부를 설득함으로서 가능하였다. 태화강의 수질개선과 생태공원 조성사업도 울산시청의 특정부서가 단독으로 추진할 수 없는 과제였다. 수질보전과·환경정책과·건설도로과·녹지공원과 등 여러 부서의 협력과 구·군들의 협조를 통하여 사업을 추진할 수 있었으며, 사업의 내용에 따라서 건설교통부, 부산지방국토관리청 및 환경부의 지원이 수반되어야 했다.


 (1) 시민단체들
 시민단체들의 활동은 십리 대숲의 보전운동과 태화들 보전운동으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십리 대숲의 보전운동은 태화강보전회에 의해서 주도되었다.
 1987년에 수립된 태화강 하천정비기본계획에 의하여 사라질 위기에 처한 십리 대숲을 보전하기 위하여 1994년 6월 울산시의회는 '태화강연안 죽림보존을 위한 태화강 하천정비기본계획 변경건의서'를 제출하였지만 건설교통부는 대숲이 홍수 때 물의 흐름을 방해할 수 있다는 이유로 불가의 의견을 보내왔다. 이에 태화강보전회는 심포지엄을 개최하여 대숲이 태화강 홍수위에 미치는 영향은 거의 없다는 것을 밝히고, 1995년에 울산시민 5만명 이상의 서명을 받아서 건교부장관, 환경부장관, 청와대비서실, 국민고충처리위원회 등에'태화강 대숲 보전을 위한 건의문'을 제출하였으며 태화강 대숲 존치의 결정을 이끌어내었다.
 태화들 보존운동은 울산경실련, 울산참여연대, 울산환경운동연합, 울산민주시민회 등 4개의 시민단체에 의해서 태화들의 택지개발 반대와 태화들의 용도 변경 의혹을 규명하려는 움직임으로 시작되었다. 이러한 움직임은 울산지역 9개 전 시민단체로 확대되어 진상규명과 제방선 수정 및 연안부지 환원운동으로 전개되었다. 이들은 2001년 7월 19일 주민 892명의 서명을 받아서 건설교통부에 주민감사를 청구하였고, 건설교통부의 주민감사위원회로부터 난개발 방지를 위해 울산시에 일반주거지역에 대한 개발 행위 제한과 부산지방국토관리청에 하천정비기본계획의 조기 재정비 지시를 얻었다.
 부산국토관리청에 의해 발주된 재정비 용역안에 주거지역 20,000평의 하천부지 재편입과 수로 굴착안이 담겨지자 시민단체들은 태화강의 원형보전을 위해서 "수로 굴착안 반대와 태화들 52,000평의 주거지역의 하천부지 재편입"을 주장하였다. 울산시와 울산시의회도 태화강의 원형보전을 위한 시민단체들의 반대운동에 입장을 같이 하였고, 태화강보전회를 중심으로 '태화들 한 평 사기 운동'이 전개되었다. 태화강의 원형을 보전해야 한다는 울산시민들의 염원을 받아들인 울산시는 태화들의 보상비를 일부 부담하기로 건설교통부와 합의하였고, 2005년 9월 건설교통부의 중앙하천관리위원회는 태화들 전체를 하천구역으로 재편입 시키는 안을 통과시켰다.
 
 (2) 지역전문가들
 지역의 전문가들은 '태화강 살리기'의 필요성과 방안을 제시하고, 시민단체와 울산시가 태화강의 원형보전을 위하여 건설교통부와 환경부를 설득할 수 있는 논리를 제공하였다. 건설교통부가 대숲이 홍수 때 물의 흐름을 방해할 수 있다는 이유로 울산시의회의 대숲존치 건의에 대해서 불가의 의견을 통보하였을 때 "대숲이 태화강 홍수위에 미치는 영향이 거의 없다"는 지역전문가의 한 사람인 울산과학대 이수식 교수의 연구결과는 시민단체들이 건설교통부를 설득할 수 있는 힘이 되었다.
 울산대 조홍제 교수는 기존의 하천정비기본계획에 의거하여 제방선을 축조하려는 2001년의 움직임에 제동을 걸고 연구결과에 바탕을 두고서 "태화강 제방선은 대나무숲을 모두 제거하는 것을 전제로 87년 하천정비계획에 의해 수립되었지만 현재는 대나무숲 존치와 도시화에 따른 홍수량 증대, 확률강우량 증가 등으로 홍수 피해 위험성이 더욱 높아졌다"며 건설교통부에 하천정비기본계획의 재수립을 요청하였다. 조교수의 건의가 받아들여져서 재정비 용역이 발주되었고, 2003년의 수로 굴착안이 나오게 되었다. 수로 굴착안에 대한 반대와 태화들의 보전운동에서도 지역전문가로서 조교수는 수로 굴착안의 문제점과 친수공간으로서 태화들이 가진 역사성을 지적하였다. 이렇게 지역전문가들은 '태화강 살리기'에 적극 동참하고 연구결과들을 통해서 '태화강 살리기'의 해법을 제시하는 등 지역거버넌스에 논리와 설득력을 제공하였다. 지역전문가들이 제공한 논리와 설득력은 중앙정부에게 지역의 입장을 전달하고 협력을 얻어내는 원동력이 되었다.
 
 (3) 울산시 및 구·군청
 태화강의 원형보전을 위해서 울산시, 시민단체와 지역전문가들이 함께 건설교통부를 설득하여 십리 대숲과 태화들을 보전하게 되었다면, 실제적으로 태화강의 수질을 개선하고 생태공원 조성사업을 주도한 것은 울산시와 구·군청이다. 하천관리는 하천의 치수기능, 이수기능 및 하천환경기능을 조화롭게 유지하면서 각 기능을 극대화해야 하기에 특정 부서가 하천관리를 전담하기는 어렵다. 태화강의 수질개선 사업을 주관한 부서들은 울산시청의 수질보전과, 건설행정과, 환경정책과 그리고 울주군, 남구, 중구의 부서들이다.
 태화강의 수질개선 사업은 1995년부터 지속적으로 추진된 사업으로 2005년 기준으로 2,458억원 이상의 사업비가 투자되었다. 국비가 1,125억원, 시비가 1,249억원(148억원의 지방채 포함), 구·군비가 90억원 이상이 투자되었다.
 이러한 사업은 울산시의 많은 부서들과 관련 구·군청의 지속적인 협력을 이끌어냄으로서 성공적으로 태화강의 수질을 개선할 수 있었던 원동력은 울산시장의 확고한 의지와 리더십이었다. 특히 민선3기 박맹우시장은 태화강의 수질개선과 십리 대숲을 포함하는 태화강 생태공원화 사업을 공약사업으로 적극 추진하였으며 태화강에서 2005년 전국체전 때 조정과 카누경기를 치르고 전국수영대회를 개최하겠다는 약속을 실천함으로서 태화강 수질개선에 대한 비전과 리더십을 제공하였다.
 
 (4) 지역거버넌스의 지원세력
 울산시 및 구·군청, 시민단체들과 지역의 전문가들이 '태화강 살리기'의 지역거버넌스를 이루는 세 축이라면, 울산시민, 지역의 기업들과 지역의 언론들은 지역거버넌스의 작동에 힘을 보태준 지원세력들이다. 울산시민과 지역의 기업들이 '태화강 살리기'에 동참할 수 있었던 것은 울산의 젖줄로서의 태화강이 가진 상징성도 있지만 시민단체들과 울산시의 적극적인 설득도 한 몫 하였다. 시민단체들은 대숲존치운동 및 태화들 보전운동에 서명운동 및 '태화들 한 평 사기 운동'을 전개하여 시민들의 동참을 유도하였고, 울산시는'푸른 울산 21'과 함께 수중정화 현장체험을 실시하여 시민들을 동참시켰다. 이렇게 시민들의 높은 관심과 참여를 이끌어 낼 수 있었던 것은 태화강에서 전국수영대회를 개최하고 전국체전 때 조정과 카누경기를 하겠다는 울산시장의 약속이 지난 날 태화강에서 멱을 감았던 울산시민들에게 태화강을 살릴 수 있다는 희망과 비전으로 작용했기 때문이다.
 지역의 기업체들은'1사 1하천 살리기 운동'을 통하여'태화강 살리기'에 동참하였다. '1사 1하천 살리기 운동'은 시민 친수공간 조성 및 환경보전에 대한 시민의식 제고를 위해 시작된 운동으로 태화강을 비롯한 도심하천의 일정구간을 기업체 및 민간단체에서 자율적으로 관리하도록 한 운동이다. 현재 관내 76개의 하천구간을 141개의 단체가 나누어서 관리하고 있다. 이 운동은 환경행정 및 기업체의 환경관리에 대한 시민신뢰도를 높이고 환경개선에 대한 시민들의 체감도를 높였다.
 지역거버넌스의 지원세력으로서 지역의 언론도 적극적인 역할을 하였다. '태화강 살리기'의 내용이 신문과 방송을 통하여 연일 보도됨으로서 시민들에게 태화강이 살아나고 있다는 희망과 동참의 의지를 불러 일으켰다.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