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전북 김제와 정읍시 일원에서 조류 인플루엔자(이하 AI)가 발병하자 울산에도 비상 방역체제에 들어갔다. AI는 특성상 한 지역에서 발병하면 인근 지역으로의 전염속도가 빠르기 때문이다. 그러나 방역당국은 이번 AI만큼 발병 시기가 예전과 같지 않아 정확한 원인 파악이 쉽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통상 우리나라 AI의 경우 겨울철새가 한창인 시기에 발병했다. 지난해 AI가 발생하자마자 울산으로 날아오는 까마귀의 가금물을 채취, 검사에 나서는 등 소동을 빚었던 것도 바로 겨울철새를 범인으로 지목해서다. 방역당국은 이에 따라 아직까지 돌아가지 않고 남아있는 철새를 중심으로 역학조사에 나서는 한편, 가능한 모든 발병원인을 찾고 있다. 또 닭과 오리, 칠면조 등 사육농가에 대해 발병 즉시 신고하도록 독려하는 등 종합적인 대책 마련에 착수했다. AI의 역사는 우리에게 늑장신고의 위험성이 얼마나 크다는 것을 잘 경고하고 있다. 지난 2003년 12월 충북 음성 닭 사육농장에서 발생한 이후 4개월 동안 6개 시·도 1개 시의 19개 농장에 번져 닭·오리 530만 마리를 살 처분한 것과 함께 사육농가에 1천500억 상당의 손실을 냈다. 2006년에도 비슷한 규모의 피해가 발생하게 된 직접적인 원인이 늑장신고에 있었다.


 이와 함께 전국의 수만 개에 이르는 통닭집과 치킨전문점 등도 AI의 말만 들어도 가슴이 '덜컹'한다. 사육농가 못지않게 이들 닭고기나 오리고기 판매업소도 직격탄을 맞아서다. 더욱이 이들 치킨점 등은 대부분이 퇴직자나 소상공인들이라 AI발병소식에 매출이 떨어지면 치명상을 입는다. 따라서 AI가 조기에 매듭지어질 수 있도록 방역에 최선을 다하는 길밖에 없다. AI는 무엇보다 초기 대응이 중요하다. 이번 역시 늑장신고와 불법출하 논란을 빚고 있다. AI 발병이 확인된 문제의 농장에서 출하된 오리를 도축한 나주도축장에 대한 통제가 이뤄지지 않아 6만여 마리가 이미 시중에 유통된 것은 AI방역체제에 커다란 구멍이 뚫려 있음을 의미한다. 소비자들도 이런 허술한 방역체제로 닭고기를 마음 놓고 먹지 못할 상황인 점을 감안하면 초기대응의 중요성을 절감하지 않을 수 없다. 그러나 지금은 확산 방지와 피해 보상에 만전을 기할 때다. AI는 발병했다고 하면 감염속도 못지않게 피해규모가 눈덩이로 불어나게 되어 있다. 울산광역시도 AI의 감염경로를 예의주시하는 한편, 울산지역 사육농가에 대한 방역을 철저히 하는 등 비상체제에 들어갔다. 농가도 발병즉시 신고하는 것이 급선무가 아닐 수 없다.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