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부산시가 지난 달 대표도서관 건립을 위한 시민 대토론회를 열었다. 이 토론회에는 시민 200명이 참석해 대표도서관에 대한 높은 관심을 드러냈다. 주요쟁점은 도서관 입지. 부산시는 최근 최종 후보지 4곳을 선정했다. 그 중 접근성이 좋고 역사성이 깃든 시민공원이 선호도가 가장 높은데, 서부산권의 사상구도 유력부지로 꼽힌다. 서병수 시장의 공약과 맞물려 있기 때문이다. 이에 앞서 부산시는 시민 5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도 했다.

 울산시가 2010년 도서관 부지선정에 들어간 뒤 최종 결정까지, 이후 설계 당선작을 결정하고 설계에 들어가기까지 단 한 차례의 시민 의견수렴도 거친 적이 없는 것과 대조적이다. 시의 이러한 행정편의적 선정방식은 비단 도서관에만 적용되지 않는다. 시가 최근 건립을 백지화 한 문수축구경기장 유스호스텔이 예다. 여론을 더 수렴한 뒤 설계용역에 들어갔더라면 용역비 7억 원을 아낄 수 있었다. 

   농수산물도매시장 이전, 전시컨벤션센터 건립도 백지화로 결론날 경우 용역비만 날리게 생겼다. 공공건축은 '행정'을 의미하는 게 아니다. 그것은 더 많은 시민들의 이용을 위해 열려 있어야 하는 것이지 행정의 일방적인 주도로 결정될 게 아니다. 특히 도서관은 시민 삶과 직결된만큼 더더욱 의견수렴이 필요하다. 다행인 것은 아직 이용자 편의성과 직결돼 있는 내부 건축은 설계가 진행중이다. 울산시는 전문성 보완을 위해 관련 전문가로 구성된 도서관 개관준비추진단을 한시운영하는 방안을 검토중인데, 여기에 시민 의견 수렴과정도 더해졌으면 한다. 건립에 유효한 얘기를 들을 수 있고 시민들의 도서관에 대한 관심을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시민들도 적극적인 관심을 보여야 한다. 그동안 기자가 만난 많은 취재원이 시립도서관이 어디에 지어지는지 조차 모르고 있었다. 이것은 행정의 소통부족이 문제일수도 있지만 시민 관심이 그만큼 적다는 반증이다. 시가 최근 개최한 첫 시립미술관 공개심포지엄 같은 자리가 마련될 수 있었던 건 지역의 첫 미술관을 기대하는 예술인 등 관계 직종과 시민의 높은 관심, 관계부처의 의지가 있었기 때문이다.

 그러니 이제 시민들도 지역에 제대로 된 문화공간이 없다는 불평만 할게 아니라 애정을 갖고 지역의 첫 대표도서관이나 미술관 등 수백억을 들여 지어지는 각종 문화기반시설이 어떻게 되고 있는지 지켜봤으면 한다. 그것이 도시의 제대로 된 변화를 이끌고, 현재 나와 미래세대의 삶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길이기 때문이다.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