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울산지역 국회의원협의회가 반구대암각화 보존 해법을 위해 심포지엄을 준비하고 있다고 한다. 10여년이 넘도록 논란만 거듭하고 있는 보존의 실질적 해법을 찾기 위한 노력으로 풀이된다. 정부에서 문화체육관광부와 문화재청이 심포지엄에 나오고 울산시와 국회의원 전문가 그룹이 참여하는 대규모 심포지엄이다. 특히 이번에 새로 자리를 맡은 조윤선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정부측 인사로 나서는 것은 눈여겨볼 대목이다. 이밖에도 나선화 문화재청장과 문명대 동국대 명예교수 등 반구대암각화의 보존문제에 직간접 관여를 해온 인사들이 대거 참여한다니 기대가 크다. 이 행사를 주관한 정갑윤 의원은 "지난 5월 가변형 임시물막이(카이네틱댐) 보존 방안이 실패하면서 보존 해법이 다시 원점으로 회귀했다"면서 "더이상 방치할 수 없는 문제이니 만큼 정부, 학계 등 전문가들과 시급히 해법을 찾기 위해 만들게 된 자리"라고 말하고 있다. 관심을 모으는 것은 가변형 임시물막이의 실패로 사실상 울산시의 '생태제방안'과 문화재계의 '수위조절안'이 유력한 보존안으로 압축된 가운데 두 안을 대변해 온 대표 전문가들이 한 자리에 모인다는 점이다. 그동안 반구대암각화의 보존해법을 모색해 온 심포지엄은 많았지만 서로 다른 입장을 가진 전문가들이 한 자리에 모인 일은 드물었다. 문화재 전문가들과 함께 수위조절안에 목소리를 높여온 문명대 교수가 '대곡천 암각화군의 문화사적 가치'를 주제로 기조강연을 하고 생태제방안을 주장해온 조홍제 울산대 건설환경공학부 교수가 '반구대 암각화보존의 문제점과 과제'를 내용으로 주제발표를 하는 점도 주목할 대목이다. 반구대 암각화는 그동안 국보 제147호 천전리 각석과 함께 '대곡천 암각화군'이란 명칭으로 유네스코 세계유산 잠정목록에 2010년 1월 등재됐지만 그 이후 한발짝도 앞으로 나가지 못하는 상황이다. 비슷한 시기에 잠정목록에 올랐던  남한산성 등이 세계유산에 지정된 것과 대조되는 상황이다. 문제는 반구대암각화 보존이라는 본질이다. 잠정목록 등재 당시 암각화군이라는 모호한 설정으로 주변경관까지 보존해야 한다는 자충수를 둔 것이 오늘의 상황을 자초했다. 세계 어느 문화유산도 주변경관을 문화재의 가치와 함께 다루는 우를 범하지 않았다. 수천년이 지나고 세상이 급박하게 돌아가는데도 문화유산을 마치 자연경관처럼 취급하려는 우는 이제 종지부를 찍어야 한다. 그런 점에서 이번 심포지엄을 통해 반구대암각화 보존을 암각화에 집중하는 선택과 집중의 장으로 만들어주길 기대한다.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