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고리1호기 영구정지 선포식'이 19일 부산시 기장군 한국수력원자력(주) 고리원자력본부 제1발전소에서 열린 가운데 문재인 대통령이 원전 주변 월내초등학교 3학년 학생들과 '더 안전한 대한민국' 영구정지 세레머니를 갖고 있다. 국내 최초 상업용 원자력발전소인 고리1호기는 40년만인 이날 0시를 기해 영구정지에 들어갔다. 유은경기자 usyek@ulsanpress.net

대한민국 첫 상업원전으로써 40년 동안 대한민국 발전의 한 축을 차지하던 '고리1호기'가 가동을 영구정지하고 퇴역식을 가졌다. 고리1호기는 15년에 걸쳐 해체될 예정인데, 이를 기점으로 정부는 '탈원전'을 목표로 에너지정책을 대변화시킬 것을 예고했다.

# 부산시 전체 8년간 사용 가능한 전력 생산
19일 산업통상자원부와 원전 운영사인 한국수력원자력(이하 한수원)은 부산 기장군 고리원자력본부에서 문재인 대통령과 한수원 직원, 주민 등 25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고리 1호기 퇴역식을 개최했다. 퇴역식은 국민의례, 경과보고, 치사, 고리 1호기 영구정지 선포식, 퍼포먼스 등의 순으로 진행됐다.
 이날 노기경 고리원자력본부장은 "정전사건으로 원전주변 많은 주민이 놀라는 등 원전에 대한 우려가 최근 커진 것은 사실"이라며 "앞으로 시민단체들과 의견을 좁혀 더 발전하는 한수원이 되겠다"고 말했다.
 하선규 부산 YWCA 회장은 "고리 1호기 폐쇄는 에너지 전환시대를 여는 안전한 사회의 출발점"이라며 "문재인 대통령께서 신고리 5·6호기 폐쇄에 대한 약속도 이행해 주길 바란다"고 전했다.

# 산업부·한수원 안전 최우선 6,400억원 투입 15년간 해체작업
고리 1호기는 앞서 지난 1977년 6월 원자로 임계점에 도달하는 것에 성공한 후 1978년 4월 본격적으로 상업운전을 시작했다.
 당시 고리 1호기의 총 공사비로 약 3,400억원이라는 막대한 사업비가 측정돼 무모한 사업이라는 평이 있었지만 원전 필요성에 따라 정부는 영국과 미국 등으로부터 돈을 빌려 공사를 진행했다. 상업운전 이후 40년 동안 고리 1호기가 생산한 전력은 15만 기가와트로, 이는 부산시 전체가 8년간 사용 가능한 전력이다. 2007년 설계수명인 30년이 만료됐지만 10년간 수명 연장이 결정돼 총 40년 간 전력을 생산했다.
 이 같이 대한민국 발전 역사의 한 축을 차지하던 고리 1호기는 지난 17일 오후 6시 전기가 차단되고 불이 꺼진 후 19일 0시 영구정지 됐다. 고리 1호기는 2032년까지 15년에 걸쳐 해체될 예정이며 그 비용은 6,437억원으로 추산됐다.
 산업부와 한수원은 해체 계획서를 마련해 사용후핵연료 냉각과 반출, 시설물 해체 이후 부지 복원까지 안전하게 마무리 하는 것을 최우선으로 할 계획이다.
 상업원전이 영구정지 및 해체되는 것이 역사상 처음인 만큼, 문재인 대통령은 정부가 이를 기점으로 '탈원전'을 목표로 하고 안전 중심의 신 에너지정책을 펼칠 것이라고 예고했다.

# 文 "원전해체산업 선도국가로 성장 아낌없는 지원"
이날 퇴역식에서 문재인 대통령은 "원자력안전위를 대통령직속위원회로 승격해 위상을 높이고 다양성과 대표성, 독립성을 강화하겠다"며 "원전 중심의 발전정책을 폐기하고 탈핵시대로 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준비 중인 신규원전 건설계획을 전면 백지화하고 원전의 설계 수명을 연장하지 않겠다"며 "수명을 연장해 가동 중인 월성1호기는 전력수급 상황을 고려해 가급적 빨리 폐쇄하겠다"고 덧붙였다.
 이밖에 미세먼지와 온난화를 유발하는 석탄화력발전소를 줄여 나가고 천연가스와 신재생에너지를 이용한 발전으로 대체하는 탈석탄·청정에너지 로드맵도 제시했다.
 문 대통령은 대한민국 원전해체산업의 발전 가능성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문 대통령은 "전 세계가 탈원전시대로 돌입하면서 해체기술에 대한 수요가 많다. 하지만 현재 미국, 독일 등에 비해 대한민국은 원전해체 기술력이 80%수준에 머무르고 있다"며 "대한민국이 원전해체산업의 선도국가가 되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전했다.  조홍래기자 usjhr@ulsanpress.net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