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울산시가 해마다 시행하는 사회조사 결과를 최근 발표했다. 사회·경제적 변화에 따른 시민의식과 생활 실태를 정책에 반영하기 위한 것인데 그 중 눈에 띄는 부분이 청년 관련 사안이다. 청년들이 취업을 희망하는 직장으로는 대기업 35.3%, 공기업 24.9%, 자영업(창업) 15.8% 등 순을 보였으며, 중소기업(벤처기업 제외)은 2.5%에 그쳤다. 이는 2021년보다 대기업 응답 비율이 12.3%나 증가한 반면에 중소기업은 19.3%나 하락한 수준이다. 

 선호하는 직장을 선택한 이유는 당연히 '임금과 수입'이 33.1%로 가장 많았다. '고용의 안정성'(26.5%), '근무환경'(11.3%) 등이 뒤를 이었다는 것은 현실태를 반영한 것이다. 또한 '공공 또는 민간 임대주택 공급 확대와 청년 전용 전월세 지원' 응답 비율이 60% 넘게 나온 점 등은 되새겨 볼 일이다. 이러한 응답들이 현재 거주지에서 다른 지역으로 이주할 계획(17.8%)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지난해 16.5%보다 다소 올랐다는 점도 안타까운 일이다. 그 해답은 이주 원인에 나타난다. 울산지역 청년들의 이주하려는 가장 큰 이유는 '구직·취업·직장 또는 사업장 이전'(30.2%)이다. '문화·여가 및 생활편의 시설 부족'(16.6%), '원하는 학교·학원 등 교육 기반 부족'(15.2%) 등도 중요하게 보고 있다. 이는 지금까지의 청년정책이 지역 정주까지 이어지는 선순환 구조를 이루지 못한다는 점을 반영한다. 

 지역인재의 지역 정주 유도는 중요한 과제임을 다시 한 번 일깨운다. 우선 지역인재의 수도권 쏠림 현상부터 막아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지역기업의 임금과 고용의 안정성, 근무환경 등을 합리적으로 개선하겠다는 문제의식에서 정책의 주안점을 찾아야 할 것이다. 이와 함께 지역인재 선발 비중을 확대하는 등 정주율을 높이는 방안을 함께 마련해야 한다. 더불어 청년층의 주거 안정을 위한 선제 대응은 이제 선택이 아닌 필수과제이다.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