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노후생활의 불안정으로 인해 사회적 안전망 강화가 시급하다는 지적은 오래 전부터 있어 왔다. 최근 공개된 KB금융지주 경영연구소의 '노후 준비 진단과 거주지 선택 조건' 보고서는 이같은 맥락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 이에 따르면 은퇴 후 최소 생활비는 평균 월 251만원, 여행·여가 활동·손자녀 용돈 등에도 지출할 수 있는 적정 생활비는 월 369만원으로 집계됐다. 2018년 같은 조사 당시 결과와 비교하면 최소·적정 생활비가 각 76만원, 106만원 늘었다. 하지만 현재 가구 소득과 지출, 저축 여력 등을 고려할 때 조달할 수 있는 노후 생활비는 평균 월 212만원뿐이라고 답했다. 이들이 스스로 생각하는 최소 생활비(251만원)에도 못 미칠 뿐 아니라, 적정 생활비(369만 원)의 57.6% 수준에 불과하다. 제대로 노후를 즐기며 살기에는 157만원이나 부족한 셈이다. 암담한 현실을 그대로 반영하는 듯해 씁쓸한 마음을 지울 수가 없다. 

 더욱 안타까운 것은 희망하는 퇴직 연령이 평균 65세인데 불구하고 실제 퇴직 나이는 희망보다 10년이나 이른 평균 55세로 집계됐다. 게다가 조사 대상자의 절반이 넘는 52.5%가 '아직 노후를 위한 경제적 준비를 시작하지 못했다'고 응답한 점이다. 의료기술의 발달로 평균 수명이 크게 늘어나 '100세 시대'라고 말하지만 이러한 삶이 자칫 재앙이 될 수도 있다는 경고음으로 들린다. 은퇴후 노후생활을 준비하지 않으면 빈곤을 피할 도리가 없다. 인생을 사는 동안 피해야 할 세 가지 악재중 하나가 노년 빈곤이라는 말이 틀린 게 아니다. 문제는 갈수록 노인층이 늘어날 수밖에 없는데다 국민연금 등 나라살림이 지금보다 더 나아질 것 같지도 않아 노후불안을 더욱 증폭시킨다는 점이다. 해법은 빈곤에 시달리는 은퇴 세대가 자영업에 내몰리지 않고 일자리를 구할 수 있도록 하는 게 최선이다. 일자리 확대의 걸림돌인 노동시장 경직성 해소가 시급한 이유다. 그게 자식이나 나라의 부담도 덜어준다.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