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연말에도 울산 소비자들의 지갑이 열리지 않고 있다. '물가 인상'과 높은 금리로 인한 '이자부담'에 체감 경기가 나빠진 탓이다. 경제 전반에 대한 소비자들의 인식을 나타내는 울산소비자심리지수가 3개월째 기준치 100을 밑돌고 있는 게 그 방증이다. 덩달아 공공요금과 농산물 가격 상승, 국제유가까지 요동치면서 물가 전망을 올려놓은 탓이 크다. 소비자들의 경제 전반에 대한 인식이 갈수록 더 악화되고 있음은 당연해 보인다. 문제는 내수활력 회복이 요원해지는 게 아닌가 하는 우려다.

 이 뿐이 아니다. 울산지역 주택담보대출 규모가 12조원을 넘겼다. 주담대에 짓눌린 가계 빚이 크게 늘자 가계 이자 부담도 '역대 최고' 수준으로 확인됐다. 고금리 상황에 대출이 늘면 경제 전체로 소비 위축을 불러와 경기 침체를 벗어나기 힘들어진다. 가계와 자영업자를 짓누르는 빚 폭탄 경고음이 급속도로 커지고 있어 곳곳이 비상 상황이다. 

과도하게 불어난 가계빚…곳곳에서 위험신호 보내고 있다는 방증
 한국은행 울산본부가 최근 발표한 '11월 울산시 소비자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울산소비자심리지수(CCSI)는 97.7로 전월대비 0.9p 상승했으나, 9월 이후 3개월 연속 기준치 100을 밑돌고 있다. 실제 이번 조사에서 물가상황에 대한 인식을 보여주는 울산지역 물가수준전망CSI(-4p), 주택가격전망CSI(-4p) 및 임금수준전망CSI(-4p) 모두 전월대비 하락했다. 주택매매 가격 상승세가 둔화하고, 거래량도 부진한 가운데 대출금리가 높은 수준을 지속한 영향이라는 게 한은 울산본부의 설명이다. 특히 미국의 추가 긴축 기대 축소와 수출 경기 회복 조짐에도 불구하고, 고금리·고물가를 비롯한 내수 부진이 지속되면서 전체 소비자심리지수가 하락했다는 것이다. 

 이와 함께 '9월 중 울산지역 금융기관 여수신 동향' 보고서도 암울하다. 울산 금융기관 총여신은 예금은행 기업 및 가계대출을 중심으로 전월대비 증가했다. 이 가운데 울산지역 내 금융기관의 주택담보대출(+761억원→+957억원)은 주택구입 관련 자금수요 등으로 증가세를 지속했다. 이에 따라 총 주택담보대출 규모는 12조원을 웃돌았으니 이자부담에 대한 우려를 하지 않을 수 없다.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를 통해 확인한 올해 1~3분기 가계의 월평균 이자 비용은 12만8,068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관련 통계가 개편된 2019년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4년 전인 2019년(8만2,089원)과 비교하면 56% 증가했다. 이자 비용은 최근 고금리 상황으로 가파르게 치솟고 있다. 분기별 월평균 이자 비용은 작년 3분기부터 5개월 연속 두 자릿수 증가율을 보이고 있다. 그만큼 고금리에 주택담보대출이 증가한 게 그 배경이다. 

최악으로 치닫는 지표 경계삼아 위기의식 갖고 대비책 서두를 때
 문제는 경제 규모에 비해 과도하게 불어난 가계빚은 곳곳에서 위험 신호를 보내고 있다는 점이다. 우선 금융 불균형 심화 요인으로 작용해 금융 시스템 안정을 위협할 소지가 커진다. 또 가계의 소비 여력을 고갈시켜 불황과 저성장의 원인이 된다. 최근의 경기 침체는 가계빚이 과다한 상황에서 고금리의 장기간 지속에 따른 소비 위축의 탓으로 보는 이유다. 

 따라서 부채 폭탄의 뇌관인 다중채무자와 저소득·저신용자 대출의 부실 징후가 짙어지는 현상을 결코 가볍게 넘겨서는 안 된다. 고금리 지속으로 이자 부담이 급증해 대출 부실은 계속 늘어날 게 뻔하다. 자영업자·소상공인이나 저신용 고령·청년층 등 빚내서 빚을 막는 취약한 고리 중 하나라도 무너지면 부실이 도미노처럼 확산돼 우리 경제와 금융 시스템 전반을 뒤흔들 수 있다. 국제통화기금(IMF)이 부채 문제를 한국 경제의 불안 요인으로 꼽으며 경고한 것도 같은 맥락이다.

 지금은 모든 지표들이 하나 같이 최악으로 치닫는 분위기다. 게다가 부채 문제가 심상치 않은 기업들도 어렵기는 마찬가지다. 연말 스태그플레이션에 대한 걱정도 전혀 놀라운 일이 아니다. 정부가 이에 대한 위기의식을 제대로 갖고 총력을 다해 비상경제체제를 가동해도 모자랄 판국이다. 모두가 각성하고 대비책을 서둘러 마련해야 할 때이다.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