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대기업 공채에는 수십만 명의 취업 희망자들이 몰리는 게 다반사다. 반면 중소기업들은 일손을 구하지 못해 애를 태우는 모습이다. 사정이 이렇가 보니 중소기업끼리 서로 인력을 빼가는 인재 쟁탈전까지 벌어진다고 한다. 대기업 일자리는 턱없이 부족하고, 중소기업 일자리는 남아도는 '일자리 미스매치(수급 불일치)'라는 고질적 병폐가 발생한다. 
 문제는 이러한 현상이 갈수록 심해지고 있는데도 뚜렷한 해결책이 없다는 점이다. 정부가 내놓는 대책이라곤 청년 취업자들의 인식 전환을 강조하는데 그친다. 중소기업에 대한 그릇된 편견을 버리고, 현실적인 취업 가능성을 중시하는 쪽으로 사고의 틀을 바꾸자고 촉구한다. 막연히 대기업 취업만을 기대하면서 실업자로 지내기보다는 중소기업에 취업해 능력을 인정받는 편이 낫다고 홍보하는 게 고작이다. 청년 구직자들이 중소기업 취직을 고려하지 않은 이유를 정확히 알고 있다면 다양한 방법론이 나와야 마땅하다. 

 중소기업중앙회가 최근 발표한 '2022년 청년 일자리 인식 조사' 결과에 따르면 중소기업 취직에 대한 부정적인 요인으로 꼽고 있는 것이 '낮은 연봉 수준'(31.0%), '업무량과 근로 시간이 과도해 일과 여가 균형 실현 어려움'(28.2%), '고용 불안정성에 대한 우려'(19.1%) 등이다. 당연하다며 소홀히 여겨서는 안 된다. 
 또 하나 우선적으로 고려하는 사항은 '일과 여가의 균형 보장'(33.2%), '임금만족도'(22.2%), '건강한 조직문화 및 사내 분위기'(15.0%) 순으로 나타난 점이다. 지난해보다 '일과 여가의 균형 보장'과 '건강한 조직문화 및 사내분위기'는 각각 5.3%p, 2.1%p 증가한 반면, '임금만족도'는 3.7%p 하락했다는 점도 시사하는 바가 남다르다.
 정부의 고용정책이 구호성이거나 장밋빛 계획만 나열해서는 취업난이 해소될 리 만무하다. 가장 시급한 것은 중소기업의 임금 수준 현실화다. 공공부문에서 반쪽짜리 시간제 일자리를 양산할 게 아니라 그 돈으로 중기 취업자를 지원하는 편이 청년실업 해소에 훨씬 효과적이라는 얘기다. 정부와 지자체는 중기 취업을 장려하는 지원책 마련에 더욱 집중해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