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최근 통계청이 발표한 '2021년 인구주택총조사 집계결과'에 따르면 울산 총인구는 112만1,000명으로 전년(113만5,000명)대비 1.3% 줄었고, 5년전인 2016년(116만6,000명) 보다는 3.9%나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울산 가구는 46만 가구로 전년(45만3,000가구)대비 1.6% 증가했고, 5년 전 보다(43만6,000가구) 5.6% 늘었다. 울산지역 인구는 내려앉았지만, 가구는 되레 늘었다는 것은 그만큼 1인 가구의 증가세가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실제 지난해 울산지역 1인 가구는 13만3,061가구로 전체 인구의 29.5%로 전년 27.7%보다 1.8% 늘어났다. 1인가구는 20년 전인 2000년 13.9%에서 2010년 20.7%, 2015년 24.5%, 2016년 24.6%, 2017년 25.1%, 2018년 25.6%, 2019년 26.5%로 갈수록 확대되는 모양새여서 대책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알다시피 1인 가구 증가는 피할 수 없다. 우리 사회의 연령 분포나 가구 구성, 그리고 삶의 패턴 자체가 급격히 변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저출산에 결혼을 미루거나 독신이 늘면서 가구 구성이 크게 달라진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이런 탓에 편의점에는 혼밥족을 위한 도시락이 즐비하고 주방 가전 매장에서 1인용의 밥솥과 프라이팬 등을 쉽게 구매할 수 있다. 혼자 사는 외로움을 달래줄 애완동물은 '반려동물'이라는 이름을 얻어 가족과 같은 대우를 받는다.

 문제는 1인 가구를 위한 정책이 여전히 미흡하다는데 있다. 한국은 세계적으로 인구가 가장 빠르게 감소하는 나라다. 이런 저출생을 극복하기 위해 결혼과 출산을 장려하는 터라 1인 가구 대책은 소외될 수밖에 없었던 사정은 이해가 간다. 1인 가구를 우대하는 정책이 자칫 저출생을 부추길 수 있다는 우려도 컸다. 하지만 이제는 시대변화에 따른 정책개선도 불가피해 보인다. 우선 국가와 지자체 차원의 지원이 절실하다. 실태를 정확히 분석해 종합적인 1인 가구 복지 시스템을 마련해야 한다. 생애주기별 1인 가구 대책은 말할 것도 없고 무엇보다 경제력과 건강에서 취약한 고령자 1인 가구에 대한 돌봄·의료 서비스 등 복지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