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지난달 전국 소비자물가가 6.3% 올랐다. 외환위기 때인 1998년 11월 6.8% 이후 24년 만에 가장 높은 상승률이다. 두 달 연속 6%대 물가를 기록한 것도 1998년 10월(7.2%), 11월(6.8%) 이후 23년 8개월 만이다. 이처럼 지난달 물가가 IMF 외환위기 시절과 유사한 수준으로 치솟았다는 것은 불안감을 넘어 공포심을 자아내게 한다.
 울산 사정도 마찬가지다. 지난해까지 2%를 밑돌다가 올 들어 1월 3.6%, 2월 3.5%, 3월 3.9%, 4월 4.8%, 5월 5.3%, 6월 5.9로 수직 상승세를 타고 있다. 품목도 안 오른 것을 찾기 어려울 정도로 대부분 품목에서 상승했다. 특히 농·축·수산물, 공공요금, 외식비 등이 상승세를 견인했다.

 고물가는 특히 서민과 취약계층에 고통을 안긴다. 물가상승률과 실업률을 더해 구하는 '국민고통지수'도 통계를 내기 시작한 2015년 이후 가장 높은 게 이를 반증한다. 더 큰 문제는 전기·가스·수도 요금 등 공공 서비스 요금이 줄줄이 올라 물가를 자극할 요소가 아직도 곳곳에 널려있다는 점이다. 정부가 돌아오는 9~10월께 물가 상승률이 최고조에 달할 것으로 보고 이달 중 민생안정대책을 발표하는 등 밥상물가 안정에 총력을 기울이겠다고 밝힌 것은 이런 연유다. 그나마 안도감을 주는 것은 올 들어 국제유가 등 대외적 불안 요인이 조금 완화되는 측면을 보인 점이다. 통계청이 "석유류와 축산물 가격 상승세가 조금 둔화돼 8월 물가가 그렇게 확대되지는 않을 것으로 기대한다"는 게 이를 대변한다.

 안타깝게도 지금의 물가 상승은 우리 힘만으로 극복하기 어려운 측면이 크다. 1970년대 오일쇼크, 90년대 외환위기 이후 최고 수준을 연일 경신하는 각종 통계에서 보듯 지금은 전 세계적인 물가 비상 시기다. 이와 함께 휴가철이 끝나면 곧바로 추석이 오기 때문에 물가는 상승 압박을 받을 수밖에 없다. 이럴 경우 자칫 장기 악순환 고리에 빠질 수도 있다.
 정부와 지자체가 경기 대응보다 물가 안정에 방점을 찍고 전방위 대책을 세워야 하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무엇보다 고물가에 취약한 서민층의 고통을 비상한 각오로 세심하게 챙겨야 한다. 물론 기업과 개인도 경각심을 갖고 물가 방어에 적극 협력해야 마땅하다.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