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비 소식만 들어도 가슴을 쓸어내려야 하는 요즈음이다. 최근 경기도 이천에서 발생한 병원화재 참사는 도대체 재난을 피할 곳이 있기나 한지 반문하게 한다. 이에따라 울산시는 어제부터 시와 구·군, 안전진단전문기관 등과 함께 합동점검반을 구성해 10월 14일까지 '대한민국 안전대전환'을 위한 핵심·위험시설 집중 점검에 나선다. 대규모 점포, 출렁다리, 가스시설, 어린이보호구역, 건설공사장 등 인명사고 및 재산피해 발생이 우려되는 시설물 555개소가 대상이다. 주요 점검 사항은 건축·토목시설물의 안전성, 전기배선 상태, 가스 안전관리 실태, 소방 자동소화장치 이상 유무 등이다. 이번에는 무엇보다 시민과 전문가 등의 참여 기반을 확대하고 협력을 강화해 실효성 있는 점검으로 반복되는 참사의 고리를 끊어야 한다.
 
이를 위해 울산시는 우선 가정집 또는 업소 등에서 자율점검을 원하는 경우 사전 점검을 거쳐 개선이 필요한 시설에 대해서는 신속하게 보수·보강을 추진하고 주기적 확인을 통해 지속적으로 관리할 예정이다. 또 '안전정보 통합공개시스템'을 통해 집중 안전점검 후속조치 및 점검결과를 시민에게 공개하고, 지도기반 이동통신 서비스 제공을 통해 시민의 안전정보에 대한 접근성과 편의성을 도모키로 했다. 이밖에 시민참여와 안전사고 예방 홍보를 위해 매달 4일 '안전점검의 날'과 연계한 안전점검 캠페인도 펼친다. 
 
하지만 이것만으로는 부족하다. 잇단 참사의 바탕에는 눈 가리고 아웅식의 '일회성 대책'이나 '땜질 처방'과 '안전 불감증'이라는 고질병이 자리하고 있어서다. 정부와 지자체 등이 아무리 대책을 내놔도 안전의식이 개선되지 않으면 참사는 막을 수 없다는 뜻이다. 다중이용시설만이라도 가용 인력을 총동원해 불시 점검을 확대해야 하는 이유다. 건물주 등이 다소 반발할 수도 있겠지만 이런 과정이 일상화돼야 우리 사회의 안전 의식이 개선되고 안전 수준도 그만큼 높아질 수 있다. 게다가 시민들도 생활공간 주변 위험 요소에 관심을 갖고 이상 발견 시 가까운 행정복지센터나 안전신문고 앱을 통해 즉시 신고해야 한다. 재난 예방과 안전의식 고취, 주변 시설 안전관리 실태 점검, 위험요인 발굴 및 개선을 위한 집중 안전점검이 모처럼 사회적 안전 운동이 되길 기대해 본다.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