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핵심 산업기술의 집약체라고 평가받고 있는 '도심 항공 이동성(Urban Air Mobility)'은 저소음·친환경 동력 기반의 수직 이착륙 이동 수단을 활용하는 차세대 교통체계다. 급속한 도시화와 교통 혼잡 등의 요인으로 인해 효율적이고 신속한 교통수단에 대한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관련 산업이 급속히 성장하고 있다. 애초 기술 스타트업을 중심으로 발달한 개인용 비행체(PAV) 시장에 글로벌 기업들이 참여하면서 그 시장 규모가 급격히 불어나고 있는 셈이다. 무엇보다 전자 상거래의 성장과 빠른 배송의 필요성으로 인해 무인 항공기(Unmanned Aerial Vehicles, UAVs) 및 드론을 이용한 항공 배송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또한 탄소 배출 감소 등 환경 친화적인 교통 수단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는 점이 크게 한몫하고 있다. 일각에서는 2025년 약 134조 원에서 2040년 약 1,340조 원으로 10배가량 확대할 것이라는 전망도 있다. 여기에는 우선 자율적으로 또는 원격 조종으로 운영될 수 있는 데다 안전성과 신뢰성을 높일 수 있고 인공지능, 기계 학습 등과 같은 첨단 기술의 적용이 UAM시장의 수익성 성장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이다.

車·이차전지·수소산업 주요 제조·연구 기반 갖춘 울산 최적지
 우리나라도 지난 24일 UAM 상용화 촉진과 기반, 행·재정적 지원 마련 등을 담은 '도심항공교통 활용 촉진 및 지원에 관한 법률'이 공포·시행되는 등 UAM 산업 육성을 국정과제로 삼아 기업 주도 모빌리티 혁신 기반 강화, UAM 상용화 체계 구축 등을 추진 중이다. 

 주목되는 것은 '산업수도'로 불리는 울산이 이 같은 UAM 육성에 팔을 걷고 나섰다는 점이다. 물론 울산은 산업적으로나 지리적으로나 UAM 산업 전주기를 원스톱으로 육성할 수 있는 최적지라는 평가를 받고 있어 전 세계 UAM 시장에서 선도적인 위치를 선점할 수 있을지 관심이 모아진다. 지난 2022년 6월 국토교통부에서 주관한 도심지를 비롯한 다양한 환경에서 기체 안정성, 상호 연계성 등을 시험(테스트)할 수 있는 '도심항공교통 실증' 최적의 장소로 선정된 바 있고 최근에는 '울산형 도심항공교통(UAM) 산업 육성 토론회(포럼)'도 개최한 것도 이런 맥락의 일환으로 여겨진다.

 특히 울산시가 자치 정책과 법·제도 정비 등을 토대로 UAM 산업을 특화산업으로 키우겠다는 강력한 의지를 내비친 것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산업도시로서 구축해 온 산업적 기반과 역량을 UAM 육성에 고스란히 활용한다면 전국 어느 지역보다 경쟁력이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 

지역기업 UAM 기업으로 전환 다각적 지원·규제 개혁 서둘러야
 우선 UAM 산업이 전통적 자동차산업의 패러다임 전환 과정에서 주목받는 점을 고려한다면, 세계 최대 규모의 자동차공장을 보유한 것부터 울산은 남다른 측면이 있다. 여기에 전국 최고 수준의 수소 생산·공급체계를 구축하고 있어 항공 모빌리티 상용화를 위한 고밀도 수소연료전지 기술 개발에도 최적지로 꼽힌다. 또 산업단지를 중심으로 정밀화학을 기반으로 한 소재 기업이 집적화해 앞으로 UAM에 사용될 경량 소재 개발도 용이한 편이다. 이런 장점들은 UAM 상용화가 본격화됐을 때 UAM 기체를 조기에 양산할 수 있는 기반으로 작용할 것이 틀림없다.

 문제는 도시 환경에서 항공 운송 수단의 사용에 대한 명확한 법률과 규칙의 미비는 시장의 수익성 성장에 큰 장애물이 된다는 점이다. 또한 공항 및 헬리패드와 같은 인프라의 제한적인 가용성에다 항공 운송 수단의 제작 및 유지에 비용적 부담이 크다는 데 있다.

 그럼에도 자동차, 이차전지, 수소 산업의 주요 제조·연구개발 기반을 갖춘 울산이 UAM 핵심 기술 확보와 상용화에 가장 적합한 도시라는 점은 큰 장점인 것만은 분명하다. 지역 기업들이 UAM 산업으로 전환해 제자리를 잡을 수 있도록 울산시가 다각적으로 지원해야 한다. 때를 놓치면 의미가 없다. 시대 흐름에 맞지 않은 규제는 서둘러 혁파해 명실상부 UAM 선도도시가 될 수 있도록 지혜를 모아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