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삽화. ⓒ장세련
삽화. ⓒ장세련

 

 “그것이 사실이냐. 대군께서 백두대간을 넘어온단 말이지?"

 “전하 백두대간은 생각보다 그리 높고 험한 곳이 아니옵니다. 장정 걸음으로 아침에 이곳을 떠나면 재를 넘어 순흥까지 가는데 여섯 시진이면 충분합니다. 해가 떨어지기 전에 닿을 수 있습니다."

 “오. 순흥이라는 곳이 그렇게 가까운 거리에 있단 말이냐?"

 “그렇습니다. 곧 영월 군수가 전하를 고치령 아래 의풍까지 모실 것입니다."

 “오. 정말 그게 가능하다는 말이냐?"

 어린 주상은 안면에 환한 미소를 띠었다. 그런 모습을 보는 이선달의 마음은 애처롭기 짝이 없었다.

 “전하 조금만 참고 견디시면 곧 좋은 날이 올 것입니다. 낙담하지 마시옵소서."

 “알겠소. 그런 날이 올 것이라 하니 내가 힘이 나는 것 같소."

 이선달은 관풍헌을 물러 나와 곧장 삼옥마을로 갔다. 삼옥리에서 큰 대추나무가 마당 가에 서 있는 박 부자 집을 찾아갔다. 먼저 주인을 만나 자초지종을 이야기했다. 박 부자는 올곧은 사람이었다. 하루아침에 혈혈단신이 되어버린 임장호가 측은한 생각이 들기도 하던 차였다. 옛 각시를 만나 살림을 합친다고 하니 내 일처럼 기뻐했다. 반년 치 새경에 해당하는 백미 한 가마를 선뜻 내어 주었다. 임장호는 갑자기 벌어진 일에 눈만 멀뚱히 뜨고 있었다.

 “임처사 기쁘지 않소? 각시가 처사를 기다리고 있는데."

 임장호는 대답도 하지 못하고 고개를 떨구었다. 이선달은 임장호와 함께 박 부자의 집에서 하룻밤을 머문 뒤 다음 날 아침 일찍 길을 나섰다. 임장호는 갑자기 닥친 일이라 분주하게 움직였지만, 딱히 챙길만한 물건도 없었다. 박 부자에게 인사를 깍듯이 마친 임장호는 새경으로 받은 백미 한 가마를 지게에 지고 이선달의 뒤를 따라갔다. 영월장에 이르러 지고 온 백미를 엽전으로 바꾸었다. 그런 다음 옛 각시에게 선물로 줄 꽃신 한 켤레를 샀다.  

 두 장정이 부지런히 걸으니 정오가 되기 전에 남대 주막거리에 도착했다 소운과 임장호는 헤어진 뒤 삼 년 만에 만나 서로 부둥켜안고 울었다. 점심을 챙겨 먹고 세 사람은 마구령을 걸어 올라갔다. 고갯마루에 가까워지자 기합 소리가 들렸다. 소운은 처음 듣는 소리에 바짝 긴장하는 눈치였다.

 “괜찮다. 산중 오라비들이 운동을 하고 있구나."

 이선달은 바로 지나치지 않고 산채마당으로 들어섰다. 언양 무사들이 산 사람들에게 검술을 가르치고 있었다. 이선달이 나타나자 검술 연습을 하던 산 사람들이 일제히 동작을 멈추었다. 이선달보다는 처음 보는 남자와 그 뒤에 꼭 붙어서 따라오는 젊은 색시에게 눈길이 끌렸다. 털보가 대장을 할 때는 이게 웬 떡이냐 하고 달려들어 차례가 다가온 산 사람이 덮쳤을 것이다.

 “이 사람들아 그만들 쳐다보게 눈알이 빠지겠네."

 이선달이 한마디 하자 바로 눈길을 거두어 갔다. 임영복은 어디 갔느냐고 물으니 오늘도 국망봉에 간 것 같다고 했다. 아침 일찍 고치령 쪽으로 떠났다는 것이었다. 이선달은 아무래도 임영복이 국망봉과 인연이 깊은 사람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언양 무사들은 그대로 산채에 머물게 하고 서둘러 마구령 고갯길을 내려왔다.

 마구령 고개를 다 내려와 주막으로 들어갔다. 주모가 반가운 얼굴로 이선달 일행을 맞았다.

 “아이고, 동상 수고가 많았네."

 “이 사람들이 여기에 머물 사람들입니다. 세 사람이 사이좋게 지내보시지요. 윤미는 내가 바로 데려가겠소. 일이 잘만 풀린다면 구중궁궐에서 호의호식하며 살아갈 날이 올 것이오."

 “말만 들어도 기분이 날아갈 것 같네. 어쨌든 동상만 믿겠네."

 “걱정 마시우. 그리고 이분들은 아직 신혼이니 잘 좀 보아주시오."

 주모는 소운의 손을 슬며시 잡았다. 이선달이 보기에 험한 일도 좀 해내겠나 간을 보는 것 같았다.

 “당분간은 이 집에서 살도록 하시게. 좀 더 형편이 나아지면 순흥으로 나가 집도 장만하고 전답도 마련해야 안 되겠나. 내가 힘닿는 데까지 도와주겠네." 소운과 임장호는 이마가 땅에 닿도록 인사를 했다. 김태환 작가 (월·수·금 게재됩니다)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