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도시숲 조성은 시민들의 건강과 행복을 지키면서 저탄소 녹색 성장을 실현하는 첫걸음이다. 개인의 행복과 여가, 생태와 환경에 대한 관심이 커지며 이는 전 지구적인 어젠다가 되고 있다. 

 울산을 비롯한 많은 지자체가 앞다퉈 도시숲 조성 행정력을 모으고 있는 가운데 조성 다음 단계인 '지속 가능한 숲'을 위한 노력이 중요해지고 있다.

 앞으로 어떤 형태의 지속 가능한 도시숲을 울산 도심에 구현할 것인가. 행정의 정책적 고민이 필요한 시간이다. 시민들이 일상에서 체감하는 실용성과 효용성, 온실 감축 기능을 넘어서 생물 다양성 전략 등 역할 확대도 요구되고 있는 만큼 정책을 고안하고 추진하는 관련 부서의 정책적 의지가 중요하다. 같은 규모의 숲 조성을 목표로 세웠더라도 녹지 공간이 적은 동네에 소규모 숲을 조성하는 것 혹은 생물 다양성 목표를 염두해 특정 수종을 심는 것은 정책적 효과가 분명 다르기 때문이다. 

울산 중구 우정혁신도시 가로공간의 공공공지에 지난 2022년에 조성한 '우정혁신도시 도시바람길숲'. 울산시 제공
울산 중구 우정혁신도시 가로공간의 공공공지에 지난 2022년에 조성한 '우정혁신도시 도시바람길숲'. 울산시 제공

 울산의 도시숲 사업은 곳곳에서 활발히 이뤄지고 있다. 

 울산시는 2019년 산림청의 '도시 바람길숲 조성 공모사업에' 선정돼 2020년부터 총 사업비 200억원을 투입, 도시 전역에 34㏊의 숲을 조성했다.

 중구 우정혁신도시에 조성된 도시바람길숲은 지난해 산림청이 인증하는 도시숲·생활숲 부문 우수사례로 선정되는 성과를 얻기도 했다. 

 이와 함께 산림청과 총 100억원을 들여(국가균형발전특별회계5·시비5) 추가 사업도 진행하고 있다. 지난해 10월 북구 화정마을~약수초등학교(1.6㏊, 1㎞) 구간에 나무 1만 1,600여 그루를 심은 데 이어 중구 세이골공원 일대(3.4㏊)에도 공원 일대에 가시나무 등 교목 30종 1,125주, 조팝나무 등 관목 17종 3만 2,455주, 물억새 등 초화 16종 10만1,308본을 식재한다. 

 북구는 길이 6.5㎞, 면적 13.4㏊에 이르는 동해남부선 폐선 부지에 산림청 기후대응기금 61억여 원 등 총사업비 122억여 원이 투입해 거대한 친환경 도시숲을 조성하고 있다.  

 지난 1월 축구장(7,140㎡) 19개 크기의 도시 숲인 '울산숲(기후대응 도시숲)' 1·2구간(이화정 구간(경주시계∼중산교차로·1구간), 신천·호계 구간(약수마을∼호계·2구간)) 조성을 완료했다. 

 북구는 나머지 3구간(송정택지지구·송정 구간) 공사는 내년에 완공해 사업을 모두 마무리할 예정이다. 

 울산숲을 중심으로 도심 녹지공간도 확장하고 있다. 울산숲 인근 완충녹지 내 순환산책로 조성 구간에는 현대자동차가 아이오닉 포레스트를, 카카오메이커스는 에코 씨드 기금을 활용한 카카오메이커스 숲을 조성했다.

 남구도 산림청의 기후대응 도시숲 조성사업 대상지로 선정되면서 올해 개운포 성지와 장생포 일대에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울산 천연숲' 조성에 나선다.

울산 중구 우정혁신도시 가로공간의 공공공지에 지난 2022년에 조성한 '우정혁신도시 도시바람길숲'. 울산시 제공
울산 중구 우정혁신도시 가로공간의 공공공지에 지난 2022년에 조성한 '우정혁신도시 도시바람길숲'. 울산시 제공

 이처럼 다양한 형태의 인프라가 만들어지며 도시숲에 대한 시민들의 인식도 향상되고 있지만 아직 보완이 필요한 부분도 있다. 일부 지역에서 도시숲의 관리상태가 미흡한 경우가 종종 발견되는 탓이다. 

 실제로 울산미포지구 미세먼지 차단숲, 울주군 그린웨이 도시숲 등은 편의 시설이 부실하다는 평가가 잇따르고 있다. 이마저도 관리 부실로 시민들의 이용이 저조하다는 문제가 제기되기도 했다. 

 '도시숲 조성'에 앞다퉈 나섰지만, 실용·효용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이다. 지속 가능한 숲을 위한 노력이 중요해 지고 있고 있는 이유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울산 각 지자체는 시민 참여를 통해 도시숲의 질적 향상과 지속 가능한 개발을 이루겠다는 계획을 세우고 있다. 

 북구와 울산생명의숲은 울산숲 관리를 위해 시민참여형 조직을 만든다. 

 대규모 숲을 지자체가 전담 관리하기엔 한계가 있어 다수의 시민단체들이 구간별로 관리해 숲의 질적 향상과 시민 의식을 높인다는 취지다. 

 이와 관련한 교육도 활성화한다는 계획이다. 광주 등 타 지자체에서도 이같이 도시숲 조성부터 유지 관리까지 지역 주민들이 함께하는 사례가 늘고 있는 추세다. 

 생태 및 조경 전문가들은 공간의 기능 강화를 주문하고 있다. 인공 시설을 최소화하면서도 이용자 동선에 맞는 수종 식재로 공원에 대한 시민 만족도를 끌어올려야 한다는 것이다.

 실제로 각 지자체에서는 이 같은 부분을 고민하고 있다. 

 우선 북구는 도시 숲과 연계해 2027년까지 동해남부선 복선전철화로 폐역이 된 호계역 일대를 볼거리와 즐길 거리가 풍성한 문화중심지로 키운다는 계획이다. 최근 국토교통부가 진행한 도시재생 공모 사업에 최종 선정되면서 국비 167억원을 비롯해 334억원의 예산을 확보한 상태다. 

 현재 비어 있는 호계역 건물에는 북카페인 '지관서가'가 들어선다. 주차장 일대는 222억원을 투입해 예술 전시장 등을 갖춘 '문화 스테이션'을 건립하고, 호계역과 호계시장을 이어주는 골목길을 정비한다. 이와 함께 호계시장 주차장으로 이용되는 공간에는 푸드 라운지를 조성할 계획이다. 

 도시숲·가로수를 체계적으로도 조성·관리하기 위한 측정평가 지표 설정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나무 종류나 크기에 따라 공기 정화 효과와 생물 다양성 보전 효과가 달라지는 만큼 이를 고려한 조경계획이 필요하다는 설명이다. 

 녹십에너지포럼 황인석 사무국장은 "현재 울산시의 숲 조성 사업은 숲 조성을 통해 얼마만큼 지역 사회가 지속 가능한 개발에 도달할 수 있는지 정확한 목표 설정이 제시되지 않았다"며 "같은 예산을 가지고도 생물 다양성, 지속 개발성 목표 등 온실 감축, 시민 친수 공간 조성 등 포괄적 목표에 접목해 같은 예산으로도 시너지 효과가 나오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아주 세밀한 고민을 통한 전략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정세영기자 seyug@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